MC:
북한은 금강산지구 남측 부동산에 대한 동결 조치에 이어 금강산과 무관한 대북 전단지 살포에 대해서도 경고했습니다. 금강산 관광 재개를 둘러싼 남북한의 갈등이 점점 확산되는 분위기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북관계가 일촉즉발의 위기사태에 있습니다. 금강산 관련 문제로 남북한이 강경하게 맞서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반영하듯 북한은 9일 오후 남측 정부에 보내는 통지 내용을 현대그룹을 통해서 전달해 상식에 벗어난 행동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남측 정부 관계자의 입회를 요구하면서, 통지문을 현대그룹 앞으로 보낸 것입니다. 한국 정부는 이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며, 13일 동결 집행 현장에 정부 관계자들을 보내지 않기로 했습니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입니다.
천해성: 이산가족 면회소는 인도적인 차원에서 남북적십자 간에 합의해서 건립한 그런 이산가족 상봉 면회시설이기 때문에, 북한이 얘기하고 있는 금강산관광 재개라든지 일정한 일방적인 어떤 조치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기본 입장이고요.
이에 따라 이산가족면회소를 비롯해 소방서, 문화회관, 온천장, 면세점 등 한국 정부와 한국관광공사 소유의 부동산들에 대한 동결이 현실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북한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지난 10일 남북장성급회담 북측 단장 명의의 통지문을 보내 “대북전단지 살포를 계속할 경우 금강산과 개성공단 육로 통행을 중단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북전단지 살포를 빌미로 남측 정부에 대한 금강산 관광 재개를 압박하려는 협박성 경고로 풀이됩니다.
이에 대해 남측은 국방부 명의로 대북 전통문을 보내 북측의 이번 발언에 대해 유감의 뜻을 표명했습니다.
현재 남측에선 정부가 민간단체들의 전단지 살포 행위를 직접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는 상태입니다. 그저 정부가 민간단체들에 대한 자제를 권고하는 정도입니다.
자유북한운동연합 박상학 대표입니다.
박상학: 아직 우리 정부에서 대북 전단을 자제해달라는 요청은 없는데요. 만약 자제해달라는 권고가 있다 하더라도 저희는 계속 전단지를 보내려고 합니다. 오는 4월 15일, 김일성 생일 때도 임진각에서 대북 전단을 보낼 예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12일 금강산 관광을 위해 중국 단체 관광객 400여 명을 입국시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금강산 관광권을 중국에 넘겼다는 소문이 나도는 가운데 이 같은 소식이 전해졌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습니다.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북측의 또 다른 대남 압박 공세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동국대 권오윤 교수입니다.
권오윤: 금강산관광을 중국의 여행사에 넘긴 다음 당분간 운영을 할 것으로 봅니다. 그러다 보면 현대아산은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고요. 결국 현대아산을 통해 우리 정부에 압박을 하게 하는..
한편, 한국 정부와 여당인 한나라당은 12일 금강산 문제와 관련해 국회에서 당정회의를 열고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특히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한나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이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납득할만한 조치를 취하고 남측 정부와 협상을 재개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입니다.
안상수: 관광객의 신변 안전도 보장하지 않으면서 관광재개를 요구하고 금강산의 남측 자산까지 동결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행위로, 즉시 철회해야 합니다.
금강산 관광 재개를 둘러싸고 연일 잇따르고 있는 북한의 대남 압박에 대해 한국 정부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면서 계속 버티고 있습니다. 금강산 관광 재개를 둘러싼 남북한의 갈등. 언제까지 대치상황을 이어갈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