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왕자 씨 1주기’ 금강산 관광 재개 요원

오늘 7월 11일은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 씨가 북한군의 총격을 받아 사망한 지 1년이 되는 날입니다. 이 사건으로 금강산 관광은 바로 중단됐으며,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재개 전망이 불투명합니다.

0:00 / 0:00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해 7월 11일 새벽,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 씨가 군 통제지역에서 북한군 초병이 쏜 총에 맞아 숨졌습니다.

이 사건으로 한국 정부는 사건의 진상이 규명될 때까지 금강산 관광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합니다.

한국 정부가 당시 진상규명을 강조한 이유는 북측에서 주장한 사건 경위가 석연치 않은 점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당시 통일부 대변인의 말입니다.

통일부 대변인: 치마를 입고 계셨고 나이가 50이 넘으신 중년부인이고 그런데, 이게 전체적으로 볼 때 논리적으로 잘 납득하기 어렵다 진상을 규명하는 것이 이번 사태의 해결에 가장 중요한 키포인트다.

북한은 그러나 사건 다음날인 12일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 대변인 담화를 통해 사고 경위가 명백하고 현대아산측 직원들과 사건 현장을 확인했기 때문에 남측 당국의 현장방문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힙니다.

오히려 북측은 모든 책임을 남측에 돌리고 금강산 관광을 관리하는 남측 인원의 일부를 추방시킵니다.

북측 금강산 군부대 대변인의 말입니다.

조선중앙TV 보도: 우리는 금강산 관광 지구에 체류하고 있는 불필요한 남측 인원들을 모두 추방할 것이다.

한국 정부는 故 박왕자 씨 1주기를 맞아 10일 통일부 대변인 논평에서 금강산 관광 재개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통일부의 천해성 대변입니다.

천해성: 금강산 관광재개 문제와 관련해서는 아까 논평에도 들어가 있습니다만 당국 간 협의를 통해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신변안전문제에 대한 진전이 있어야 한다는 정부 입장에 변화가 없습니다

.

더구나 이명박 대통령이 최근 지난 정부의 대북 지원이 북한의 핵무장에 이용됐을 가능성까지 제기했습니다.

결국 개성공단의 직원 억류사태와 북한의 핵실험으로 더욱 악화된 남북관계가 풀리기 전까지 금강산 관광의 재개는 힘들어 보입니다.

한편, 통일부는 10일 대변인 논평을 통해 “북한은 성의 있는 자세로 금강산 사건 해결을 위한 남북 당국 간 협의에 즉각 응하라”고 촉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