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금강산 내 남측 민간 부동산에 대해 동결과 몰수 조치를 취한 북한이 16명만 남기고 나머지 남측 인원을 추방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도 대응조치를 검토하고 있으며, 조만간 이를 공식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금강산 문제를 둘러싼 남북 간의 대립이 ‘점입가경’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안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강산 관광지구에서 근무하던 남측 인력 36명이 2일 오후 철수한데 이어, 3일 오전에도 24명이 철수했습니다. 대부분이 현대아산 직원들이었으며, 협력업체 직원도 일부 포함돼 있습니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입니다.
천해성: 이로써 아침 10시 현재 금강산에 체류하는 최종인원은 현대아산 직원 12명과 에머슨퍼시픽 직원 4명 등 총 16명이 금강산 관광지구에 체류하고 있습니다.
금강산에 남은 인원들은 동결된 민간 부동산을 관리하고 남측과의 연락업무를 하게 됩니다.
인력 철수가 마무리 되면서 한국 정부도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습니다. 현재 관련 기관과 협의 중이며, 조만간 이를 공식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천해성 대변인입니다.
천해성: 구체적인 대응조치의 내용, 수위라든가 여러 가지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현재 저희가 유관부처와 협의하면서 관련한 내용을 준비하고 있고, 검토하고 있습니다.
일부에선 남측 해군 초계함 침몰 사건과 연계해서 한국 정부가 대응 조치를 발표할 것이란 관측도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일단 연계 가능성에 대해선 부인했습니다.
천해성 대변인입니다.
천해성: 지금 질문하신 천안함 사건이라든가 이런 것을 직접 저희가 연계를 해서 검토하고 있지는 않다고 그렇게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한국 정부는 그동안 강력한 대처를 여러 차례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런 만큼 이번엔 남북한 교류협력에 직접적으로 타격을 줄 수 있는 조치들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홍익표 연구위원입니다.
홍익표: 현재 예상할 수 있는 남측 정부의 대응 조치로는 우선 남북교역 축소가 있고, 다음으로 사업자들의 남북교류 협력사업을 승인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고 남측 경제인과 문화인들의 북한지역 방문 불허가 있겠습니다.
하지만, 이럴 경우 북한도 또 다른 강경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개성공단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금강산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는 양상이지만, 아직까지 사태 해결을 위한 뾰족한 방안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