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 방문으로 남북관계 풀릴까?

0:00 / 0:00

MC:

북한이 금강산 관광지구의 남측 재산을 정리하겠다며 6월 30일까지 금강산으로 오라고 요구한 데 대해 한국 정부가 27일 가겠다고 밝혔는데요. 오늘 드디어 금강산으로 떠납니다.

금강산 문제를 둘러싼 남북 간의 이번 만남이 남북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지난해 북측이 남측 자산의 동결·몰수를 통보하면서 당국자들의 입회를 요구했을 때 남측 정부는 응하지 않았습니다.

민간 사업자 대표 30명만 금강산에 갔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도 정부가 가지 않고 민간 투자기업들만 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당초 예상을 깨고 정부가 중심이 돼 민관 합동 방북단이 구성됐습니다.

그렇다면 지난번과 달리 한국 정부가 개입한 이유는 뭘까요?

우선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보입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홍익표 박사입니다.

홍익표:

지난번처럼 또 사업자들만 보내면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하지 않고 소홀히 다룬다는 책임론이 불거져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또 일부에선 당국 간 합의를 북측이 일방적으로 파기했다는 점을 정부가 직접 가서 제기하기 위해서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모두 12명으로 구성된 이번 방북단에는 통일부 등 정부 관계자 6명과 현대아산 등 민간 관계자 6명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들은 29일 오전 동해선 출입사무소를 거쳐 금강산으로 갑니다.

현대아산 김하영 홍보과장입니다.

김하영:

정부도 가고 그러니까 협의가 잘돼서 좋은 방향으로 가길 바랄 뿐입니다. 지금으로선 좀 더 지켜봐야 알 것 같아요.

북측이 이번에 표현한 ‘재산 정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지금으로선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동결, 몰수한 남측 재산을 제3자에게 매각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로 해석하기도 했습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홍익표 박사입니다.

홍익표:

몰수됐거나 동결된 재산권에 대해 최종적으로 소유권을 이전하거나 또는 제3국에 임대 혹은 판매를 할 경우에도 현재 재산 소유권자에게 명확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북한이 몰수했다고 주장하는 금강산 내 남측 자산은 이산가족면회소, 소방서, 문화회관, 온천장, 면세점 등입니다.

그리고 동결 자산은 현대아산이 소유한 금강산 호텔, 외금강 호텔을 비롯해 온정각, 고성항 횟집 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