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북한 당국의 보건 관리와 관련한 정보 부족과 폐쇄적인 태도로 한국 정부의 대북 말라리아 방역 지원이 어려움을 많이 겪었다고 이 사업을 관장했던 한 정부 관리가 밝혔습니다.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이 세계보건기구를 통해 추진한 남북공동 말라리아 방역 지원 사업이 북한의 폐쇄적 태도와 보건 관련 정보 통제 탓에 난관 속에 진행됐다고 한국 보건부 산하의 질병관리 통제실 박 옥 팀장이 말했습니다.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세계보건기구(WHO)와 함께 직접 대북 말라이아 방역 지원 사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남북공동 말라리아 방역 사업을 주도한 박 팀장은 10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북한의 폐쇄성과 이를 둘러싼 정치적인 갈등을 남북공동 보건지원 사업의 가장 큰 장애물로 꼽았습니다.
그는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한 2000년 전기 현미경을 준비해달라는 세계보건기구의 요청에 따라 한국 당국이 구매를 추진했지만 심각한 전력난으로 북한에선 전기 현미경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말에 구매를 처음부터 새로 시작해야 했다고 털어놨습니다.
"북한 보건 관리 정보가 굉장히 부족하고, 투명하지도 못해 사업 시작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심지어 함께 사업을 진행한 세계보건기구도 북한 당국으로부터 정보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듯 했다"며 이같이 회상했습니다.
이에 더해 북한의 수송 시설이 워낙 낙후해 말라리아가 성행하는 6월 이전에 방역 물품을 인천항을 통해 남포항까지 보내야 하는 상황에서 준비 시간도 충분히 확보되지 못했던 점도 사업의 어려움으로 지적됐습니다.
또 북한 당국이 한국 당국과 국제사회로부터 직접 지원받는 것을 꺼려 세계보건기구와 협력해 연례 회의를 추진하거나, 방역 전문가들의 연수를 추진할 때에도 라오스, 베트남, 중국 등 공산주의 국가들과 연계를 해야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고 박 팀장은 밝혔습니다.
앞서, 한국은 남북협력사업으로 말라리아 남북 공동방역을 2000년 이후 펼쳐오며 많은 성과를 이끌었지만, 올해 천안함 사태로 사업이 잠시 중단됐다가 지난 8월 방역 물품 전달을 시작으로 사업이 재개됐습니다.
한편, 한국의 경기도는 올해 10월말까지 도에서 발생한 말라리아 환자 수가 802명으로 접경 지역을 중심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히면서, 이의 원인으로 올해 남북 분위기 경색으로 공동방역사업이 늦어진 점을 꼽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