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둥 민경련 사무실 활기 되찾아

0:00 / 0:00

앵커:과거 대북 경협사업을 주도했던 중국 단둥의 민경련 사무실이 최근 다시 활기를 되찾고 있습니다. 대북 경협사업을 금지한 5.24 조치 이후 명맥만 유지해오던 민경련 사무실에 인원이 보강되고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중국에서 김 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북한의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에 대한 응징으로 한국정부가 대북 교역을 중지시킨 5.24 조치 이후 개점 휴업상태였던 중국 단둥의 민경련 사무실이 최근 들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단둥의 대북 소식통들은 최근 이 같은 소식을 자유아시아 방송(RFA)에 전하며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후 대남 공세에 더욱 열을 올리고 있는 현재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게 대북경협 창구가 분주해지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단둥의 소식통들은 내년 초 한국에 새 정부가 들어서면 5.24 조치가 철회될 가능성에 대비해 남한의 기업인들이 미리 대북 경협사업을 준비하는 차원에서 민경련을 찾고 있는 것 같다고 풀이했습니다.

지난 2003년부터 북한의 수산물과 농산물을 수입하던 남한의 기업가들과 북한에 진출해서 임가공업을 하던 사람들은 이미 작년부터 대북경협이 재개될 때를 대비해 대북한 사업을 준비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익명을 요구한 한 중국인 소식통은 “민경련 요원들과 접촉하는 남한의 사업가들은 이들과 미리 안면을 터 두려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며 “지금 당장 무슨 대북 경협이 이뤄지기 보다는 장래를 위해 투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남한 대북 사업가들과 북한의 민경련 요원들의 접촉 사실을 남한 정부가 인지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적어도 북한 당국은 알면서도 묵인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풀이했습니다.

북한의 대남 경협창구인 민경련은 지난 1991년 남한의 노태우 정권 당시 6.15 남북 기본합의서 채택 이후 북한에서 대남 경협창구로 조직된 기구로 2003년 남북 경제 합의서가 발효되면서 남한의 민간 사업자들의 대북 사업을 총괄했습니다.

이후 민경련은 중국 단둥과 베이징, 옌지에 차례로 사무소를 개설하고 모든 남북간 경협사업의 유일한 창구로써 기능했습니다. 남한으로 들여가는 북한산 물품의 원산지 증명서도 모두 이 기구에서 발급해 주었으며 남한 당국에서도 이 기구에서 발급해준 원산지증명서가 있는 북한 상품에 대해서만 관세를 면제해 주었습니다.

이처럼 민경련의 권한이 막강해지자 북한요원들의 뇌물수수와 횡령 등 비리가 끊이지 않았습니다. 급기야 2008년에는 남한에서 체포된 북한여간첩 원정화를 단둥의 민경련 부대표였던 보위부 요원 김 모가 배후 조종한 것으로 밝혀져 세간을 떠들썩하게 한 일도 있었습니다.

남한정부의 5.24 조치이후 모든 경협사업이 금지되었지만 민경련 사무실은 계속 운영되다 작년 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 후 기존 요원들을 모두 철수 시킨 바 있습니다. 그러다가 금년 봄 민경련 단둥 대표부에 황명호 대표와 이완배, 조철호 부대표가 베이징 사무소 소장에는 이영호 전 민경련 부서기가 새로 임명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같은 북한당국의 조치에 대해 중국 내 대북 소식통들 사이에서는 남한 차기정부의 대북 정책 변화를 기대하고 이에 미리 대비하려는 북한당국의 발 빠른 포석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