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북한의 공식적인 남북경제교류 창구인 민족경제협력연합회, 즉 민경련이 또다시 된서리를 맞고 있습니다.
이번엔 비리 혐의가 아니라, 실적 부진에 따른 문책성으로 북한 당국이 중국에 나가 있는 민경련의 간부들을 전원 교체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경색된 남북관계가 중국에 있는 민경련 간부들의 자리보전도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대북사업 관련 시민단체인 남북포럼은 6일 보도 자료를 배포하고, 북한 당국이 최근 중국의 민경련 간부들을 2012년 1월부터 전원 교체한다는 방침을 세웠다고 밝혔습니다.
남북포럼은 북한 당국의 이 같은 조치에 대해 실적 부진에 대한 문책성 인사로 풀이했습니다.
[인터뷰:
김규철, 남북포럼 대표
] 그동안 대남 경협 간부들의 교체 배경이 비리 의혹이었는데요. 그런데 이번에는 실적이 부족해 간부들을 전원 교체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한국이 지난해 5.24 대북제재 조치를 발표한 이후 남북 간 경제교류가 거의 없어 민경련 단동 대표부와 북경 사무소는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에 있었습니다.
현재 민경련 단동 대표부에는 리용남 전 샛별총회사 과장이 대표를 맡고 있으며, 민경련 북경 사무소에는 유경종 전 삼천리총회사 참사가 소장을 맡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이들의 후임자 관련 소식이 없어 일부에서는 교체가 아닌 철수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인터뷰:
홍익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
] 남북관계가 계속 경색된 상황에서 민경련이 실질적으로 운영되지 않기 때문에 중국에 괜히 나와 있을 필요가 없겠죠. 그래서 북한으로 철수한다고 봐야 하고요. 철수된 인력들은 다른 곳에 배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북한은 2008년 말경에 그동안 대남업무를 취급하면서 비리에 연루된 민경련을 대신해 산하에 민경련 총회사를 새로이 설립하고 민경련 단동대표부와 북경사무소 책임자를 임명했습니다.
단동대표부는 농수산물과 의류봉제, 소규모 투자 관련 업무를, 북경사무소는 통신과 전자제품 관련 업무를 각각 담당했으며, 평양의 민경련 총회사는 규모가 큰 투자 사업만을 처리해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