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경련, 기부금 요구 등 횡포 여전

남북관계가 악화하면서 남한의 대북사업 창구인 북한 민족경제협력연합회, 민경련의 중국 사무소는 과거와 달리 한산한 모습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민경련은 예고 없이 원산지증명서 발급 수수료를 두 배로 올리는 등 횡포가 여전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0:00 / 0:00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북한의 양강도에서 생산된 말린 고사리를 수입해 남한으로 수입하는 남한기업인 서해준(가명, 남, 46세)씨는 "민경련에서 발급하는 '북한산 제품 입증' 서류, 즉 원산지증명서 발급수수료가 이달부터 종전의 2배로 올랐다"고 자유아시아 방송(RFA)에 전했습니다.

"그동안 민경련은 북한산임을 증명하는 원산지증명서를 발급해 주는 수수료 명목으로 매출액의 2~3%를 요구해왔는데 이번에 아무 예고 없이 종전보다 두 배 오른 6%를 요구했다"고 서 씨는 말했습니다.

남한의 대북사업자들은 원산지 증명서는 수출업자가 당연히 발급해줘야 하는 서류인데도 도리어 남한 업자들에게 수수료를 요구하는 것은 북측의 횡포라고 말합니다.

민경련의 횡포는 이 뿐만이 아닙니다.

북측과의 사업을 원하는 남측 사업가들에게 기업등록비 혹은 성의표시라는 명목으로 수천 달러에서 수 만 달러의 기부금을 요구해온 관행도 여전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중국 내 민경련 연길사무소를 통해 북한산 명태를 수입하는 김진규(가명,남,59세) 씨는 최근에 북한산 바지락을 수입하기 위해 북한산 바지락이 많이 나오는 서해를 관할하는 민경련 단동사무소에 문의를 했더니 "신규로 거래하는 기업은 등록비로 인민폐 2만 위안(한화 약 400만원)을 먼저 내야 한다고 요구해 사업을 포기했다"고 말했습니다.

3년 전 북한에서 고추장을 제조해 남한으로 공급하는 사업을 민경련과 추진하던 남한 사업가 오 모 씨도 당시에 민경련이 미화 5만 달러를 기부해 달라고 요구해 사업을 포기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내 민경련 사무소는 그동안 직원들의 철수와 복귀가 반복돼왔습니다.

북한 당국이 2007년 하반기부터 비리의 온상으로 지목받던 민경련 단동사무소와 연길사무소의 요원들을 소환 조사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민경련 단동사무소는 '민경련총회사'로, 민경련 연길사무소는 '대성총회사'로 간판을 바꿔달고 대표와 요원들의 일부도 교체했지만, 남한의 대북 사업자들은 여전히 '민경련'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과거 '민경련 단동사무소' 요원으로 '원정화 간첩사건'에 연루됐던 북한의 보위부요원 김 모 씨는 사건이 발생한 작년에 일시적으로 귀국했다가 다시 복귀해서 부대표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중국에 체류하면서 북한산 농수산품을 구매하고 있는 남한 대북사업자들은 "단동이나 연길의 대북사업 창구인 '민경련 총회사'와 '대성총회사' 사무실은 과거처럼 남한의 사업자들로 북적이던 옛 모습을 찾아볼 수가 없다"고 최근의 분위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남북관계가 악화한 요즘 남한 당국으로부터 대북사업을 규제하는 구체적인 조치는 없지만, 남한의 대북사업자들 스스로가 북한산 물품구매를 자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