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에서 채명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일본 방위성은 동해와 태평양에 파견한 이지스함의 정보와 미군 정보를 토대로 북한이 발사한 로켓이 무수단리를 기준으로 3천200킬로미터 정도를 비행하다 태평양 상에 낙하했다는 잠정적인 결론을 내렸다고 전해졌습니다. 낙하 지점은 북한이 애초 예고한 일본 동쪽 2천150킬러미터에서 천950 킬로미터 사이의 해역 가운데 일본 쪽에 가장 가까운 해역입니다.
방위성은 또 북한이 98년8월에 발사한 대포동 1호 (천600킬로미터)에 비해 비행거리가 두 배로 늘었다는 점을 들어 북한의 미사일 기술도 두 배 이상 비약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전해졌습니다.
한편, 하마다 야스카즈 방위상은 9일 열린 중의원 안전보장 위원회에서 미사일 발사를 탐지하는 대책에 관한 질문을 받고 "진지하게 생각해 보아야 한다."며 조기경계위성 도입을 검토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실제로 방위성은 조기경계위성을 도입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방위계획대강'의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일본의 최대 위협은 대포동 즉 장거리 탄도미사일이 아니라 노동 즉 중거리 탄도미사일이라고 지적하면서, 노동 미사일 대책이 더 시급한 과제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예컨대 일본의 한반도 문제 전문가인 게이오 대학의 오코노기 마사오 교수는 NHK와 한 회견에서 "북한이 일본열도 전역을 사거리로 둔 노동 미사일에 소형 핵탄두를 탑재할 가능성을 가장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북한은 90년대에 들어 사거리를 대폭 늘린 노동 미사일 개발에 착수해 93년5월 일본의 노토 반도 앞바다를 향해 처음 시험 발사한 바 있습니다. 노동 미사일의 추정 사거리는 일본열도 전역을 사정권에 둘 수 있는 천300킬로미터 이상으로, 현재 200기에서 320기를 실전 배치했고 400에서 500킬로그램급 소형 핵무기도 5개에서 6개를 보유하고 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98년8월에 이어 2006년7월 그리고 최근 장거리 탄도미사일의 발사 강행은 일본보다는 미국을 염두에 둔 군사적 도발이라고 분석하면서, 일본 정부는 노동 미사일에 대한 요격 체재를 정비하는 방위 예산을 대폭 늘려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정치권에서도 북한의 핵개발과 탄도미사일 대책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자민당의 사카모토 조직본부장은 지난 6일 "북한이 핵개발을 중지할 때까지 일본도 핵 보유를 선언해야 한다"고 주장해 큰 파문이 일고 있습니다. "북한의 미사일 기지를 겨냥한 선제공격은 헌법 위반이 아니다"는 주장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이를 배경으로 북한의 핵개발과 탄도미사일 위협을 빌미로 일본이 군비를 증강하는 속도가 더욱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