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일본의 인권단체 관계자는 미사일 발사 기간 연장 발표 등으로 국제사회의 정보력을 시험하는 북한의 '교란 전술'에 국제사회가 휘말리기 보다는 세계 최악의 심각한 인권 유린 문제로 북한을 압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북한의 인권문제가 로켓 발사로 인해 묻힐 것이란 우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일본의 인권단체 ‘노펜스’의 송윤복 사무국장은 북한이 기술적인 문제를 들어 미사일 발사 기간을 연장한다고 발표한 것은 미국과 한국 등 국제사회의 정보망을 교란시키려는 책동이었으며 국제사회는 더 이상 이와같은 북한의 책동에 휘말리기 보다는 인권 문제로 북한을 압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송윤복 사무국장 : 국제사회가 (미사일 등을 이용한 북한의 전술에) 이리저리 흔들려 봤자 소용없어요. 여태 몇 십년 계속해서 북한이 (미사일, 핵 등 문제를 일으킬 때마다) 주변국들이 흔들리는 것 이제는 그만 합시다. 북한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북한이 외면할래야 할 수 없는 더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문제로 압박을 가해야 한다는 겁니다.
송 사무국장은 북한은 미사일 발사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유훈을 실현하고 강성대국으로 진입하는 길을 열었다고 대내적으로 선전하며 내부의 불안정한 상황을 진정시키는 데 북한이 어느 정도 성공했다면서 국제사회는 북한이 절대로 합리화 할 수 없는 열악한 인권 문제를 협상의 주제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송 사무국장 : 교란의 대상은 국제사회와 북한 내부입니다. 기술적인 문제가 생겨서 발사를 연기한다고 국제사회에 공개했습니다. 해외에 나오는 북한 관리들을 통해 올해 안에 발사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조작된 정보를 흘렸습니다. 하지만, 미사일 발사를 강행해 외부 압력에 상관없이 자신들의 내부 의사와 사정에 의해 결정해 자주권을 지켰다고 과시한 셈입니다.
송 사무국장은 북한 당국은 북한 군과 연결된 중국 내 북한 무역대표부 관리 등을 통해 “미사일 발사 계획 발표는 정치적인 효과만 노린 속임수이며 따라서 올해 안에 미사일 발사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정보를 흘려 어느 경로로 북한의 내부 소식이 외부로 흘러 나가는지를 파악하려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미국과 한국의 정보력을 시험하고, 북한에서 외부로 정보가 어떻게 새어나가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교란작전’이었다는 설명입니다.
송 사무국장은 따라서 북한이 자국민을 괴롭히고 못살게 하고 미사일과 핵 개발 등 도발적인 행동을 지속하는 한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도록 인권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특정실종자문제 조사회 대표인 아라키 가즈히로 일본 됴쿄의 타쿠쇼쿠 대학 해외사정 연구소 교수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에 미사일 발사를 감행한 북한 정권에 대해 일본에 거주하는 북한국적자가 북한을 방문하면 재입국을 금지하거나 북한으로의 송금 제한을 엄격히 하는 등의 제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 정권과 일본 내 친북단체 조선인총연합회와의 연결 고리를 끊는 제재로 북한 주민이 아니라 북한 정권을 압박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