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보위부가 중국을 방문하는 주민들에게 개별적으로 접근해 한국이나 미국 선교사들의 활동내용을 파악해 보고하라는 임무를 주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국가안전보위부가 친척방문차 중국을 찾는 주민들을 통해 동북지방에 있는 한국인들과 미국 선교사들의 신상정보 등을 확보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친척방문을 위해 최근 중국 지린성 옌벤 지방에 나온 한 북한 여성은 "중국에 나오기 전에 보위부 책임자로부터 한국 교회에 찾아가 목사나 선교사의 이름 등을 알아오라"는 과제를 받았다고 13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익명의 북한 주민: 어디 친척이 있다고 하니까, 그쪽 집이 어딘 가고 캐기 시작하면서 알아보라고 했어요. 벌써 꼬리표가 붙었을 수 있어요. 잘못하다가는 죽음이 있을 수 있어요.
몇 년 전 중국에 있는 친척으로부터 방문 동의서를 받고도 허가가 나오지 않아 기다리던 이 북한 여성은 "수속비로 중국 돈 3천 위안 정도 주고 중국에 나왔다고 전했습니다.
계속하여 그는 "중국에 오기 전에 보위부장이 좀 만나자고 해서 만났는데, 친척이 사는 동네에 모 한국 교회가 있는데, 거기에 가도 된다는 말을 들었다"면서 "거기서 한국 선교사를 만나더라도 피하지 말고 이름과 신상, 그리고 반북활동을 하는 지 등을 알아가지고 나오라는 임무를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2005년에도 한차례 중국을 방문한 적 있는 이 주민은 "그때 보위부에서는 한국 사람이 있는 교회에 절대 가지 말라고 교육했는데, 지금은 가도 된다니 오히려 이상하지 않느냐?"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는 "중국을 방문하는 (북한)방문자들이 다 그런 과업을 받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평소 잘 모르고 지내던 자기에게 그런 과제를 줄 정도면 달라지지 않았겠냐"고 반문했습니다.
한편, 그는 중국에 친척이 있는 사람이라고 해서 다 보내는 것은 아니고, 중국에 있는 친척들이 잘 사는 사람일수록 여권이 잘 나온다고 귀띔했습니다.
그는 자신은 보위부에 인민폐 3천 위안 정도 고이고(뇌물로 바치고) 중국에 들어왔는데, 다른 주민은 그 이상을 요구한다며 보위부도 여권장사를 하고 있는 셈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계속하여 중국 친척 가운데 회사를 운영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면 이런 경우에는 귀국할 때 비료나 쌀을 가지고 북한에 들여올 수 있는지도 검토한 다음 여권을 내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정은 체제 들어 북한 국가안전보위부는 탈북자 색출과 중국에서 활동을 하는 대북민간단체나 기독교 선교사들을 색출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미국에 정착한 한 탈북자는 "얼마 전 북한에서 15년 노동 교화형을 언도받은 미국계 한국인 케네스 배씨의 신상도 이미 중국에 있을 때 북한 보위부에 넘겨졌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북한 보위부의 중국 내 활동이 전 방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