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이 오는 3월 1일부터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승차권에 실명제를 적용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때문에 신분증 없이 중국에서 숨어 지내는 탈북자들이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교통운수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3월 1일부터 성(省), 시(市) 사이를 이동하는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승차권에 대한 실명제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중국인은 신분증, 외국인은 여권을 제시해야만 시외버스 승차권을 구입할 수 있으며 버스에 탑승할 때도 사진이 있는 신분증과 승차권의 명의자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이미 모든 항공기와 여객선 그리고 열차 이용 승객에 실명제를 적용하고 있는 중국 당국이 이번에 고속버스와 시외버스까지 확대 적용하는 것입니다.
중국 변경지역의 한 소식통은 "현재 열차 승객에 적용하는 것처럼 승객이 휴대하는 모든 짐은 X-Ray 검색대를 통과해야 하고 승객들도 간단한 금속탐지기 검사를 받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소식통은 "중국 당국이 이 같은 승차권 실명제를 확대 실시하는 이유는 무슨 때만 되면 극성을 부리는 암표방지와 테러방지에 목적이 있지만, 신분증 없이 숨어 지내는 북한이탈주민들에게는 뜻하지 않은 족쇄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으로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는 지역이나 시외버스만 운행되는 오지에 숨어있는 탈북민들은 일반 차량이나 택시를 이용하지 않는 한 이동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한국에 정착한 한 탈북민은 "대부분의 탈북민들이 압록강이나 두만강을 건넌 후 중국 남방 국경까지 이동해서 동남아 국가를 경유해 남한에 들어오고 있다"면서 "이런 점을 고려하면 이번 시외버스 실명제는 북한이탈주민들에게는 이동의 자유를 빼앗기는 충격적인 조치"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소식통은 "이제 동남아 등 제3국을 거쳐 한국행을 희망하는 탈북민들은 비싼 돈을 들여가며 개인용 승용차나 장거리 택시를 대절해 중국 내에서 이동해야 한다"면서 "브로커에 비싼 대가를 지불하고 동남아를 거쳐 한국에 들어오는 탈북민들의 부담이 크게 늘어나게 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RFA 자유아시아방송 김준홉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