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전국에 있는 외화상점의 상품차입 방식을 곧 변경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모든 외화상점의 상품을 국가가 일괄적으로 공급하던 과거의 방식으로 돌아간다는 소식입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양을 비롯한 북한의 대도시에서 중상류층이 주로 이용하는 외화상점들에 대한 상품공급방식이 곧 변경될 것이라고 현지 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지금까지는 외화상점 지배인들이 자율적으로 상품을 구매해서 판매한 다음 이익의 상당 부분을 국가에 납부하고 나머지를 지배인이 갖는 제한적인 자율경영의 형태로 운영되어 왔습니다.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 무역기관의 고위 간부로부터 이 같은 소식을 전해 들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히면서 "이 방식이 본격 시행되면 북한의 외화상점 운영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동안 외화상점 지배인들은 직접 중국에 나와서 잘 팔릴만한 물건을 구입해 들여갔지만 앞으로는 상점에 필요한 물품 목록을 도(또는 시)의 무역국에 제출하면 국가 무역회사가 중국에서 일괄 구입해 공급해 준다는 게 이번 상품 공급방식 변경의 핵심 내용이라는 설명입니다.
"외화상점에 대한 상품공급 방식을 변경할 경우, 상점 지배인들의 중국행을 막는 것은 물론 지배인들의 장사수완(경영능력)을 어느 정도 보장하던 지금까지의 운영방침을 철회하는 것"이라고 소식통은 분석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국가가 물건을 일괄공급하는 방식으로 상점에서 필요한 물건을 제 때 공급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면서 "물건의 품질과 가격면에서도 상점 지배인들과 공급을 맡은 무역기관 사이에 마찰이 발생할 소지가 많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평양의 한 주민소식통은 "외화상점에 대한 새로운 방침을 언제 시행할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마도 5월 당대회가 끝난 후 시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습니다.
소식통은 "외화상점의 물건을 국가가 직접 공급하겠다는 것은 과거에 시행했던 방식으로 되돌아 가는 것"이라며 "그동안 무늬만 국영상점으로 하면서 사실상 지배인이 자금을 대고 운영해오던 외화상점 경영권을 국가가 도로 회수해 가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외화상점의 이익금 중 국가에 바치고 남은 일부를 지배인 몫으로 인정하던 것을 이제는 그마저도 국가가 모두 차지하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밖에 없다는 얘깁니다.
소식통은 "국가가 지배인들 몫의 외화마저 회수해야 할 만큼 외화사정이 급한 것 같다" 면서 "앞으로 외화상점 지배인은 과거처럼 관리자로써 소액의 월급만 받게 되기 때문에 외화상점의 매출은 떨어지고 운영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