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단둥 대북제재로 빈 사무실 증가

0:00 / 0:00

앵커: 중국 단둥시내의 업무용 건물에 빈 사무실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의 대북제재로 북-중 무역이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중 무역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중국 단둥에 빈 사무실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단둥의 한 소식통은 "북한과 거래하는 중소 무역회사들이 주로 입주해 있는 30층짜리 쌍둥이 빌딩에 요즘 들어 빈 사무실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유엔 안보리 제재로 대북무역이 여의치 않게 되자 이 빌딩에 입주해 있던 무역관계자들이 철수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중국의 경기침체 영향으로 단둥 시내 다른 빌딩들에도 빈 사무실이 늘고는 있지만 압록강변에 위치한 이 빌딩의 사무실 공실율은 다른 건물의 두배가 넘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건물에는 주로 대북무역 관계자들이 입주해 있었는데 북-중 무역이 축소되면서 입주해 있던 무역회사들이 임대계약 재연장을 포기한 탓"이라고 소식통은 강조했습니다.

이 빌딩에 200평방 넓이의 사무실을 소유하고 있다는 한 중국인은 "1년 단위로 계약을 하고 있는데 지난 5년 동안 입주해 있던 임차인이 계약연장을 포기하고 철수하는 바람에 대책 없이 비워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인 소식통은 "이 빌딩은 단둥해관과 가깝고 작년까지만 해도 북한 영사관(단둥 영사부)이 입주해 있을 정도로 북한관련 업무를 하는 사무실이 많기로 유명했던 빌딩"이라며 "특히 북한의 석탄과 유색금속(비철금속)을 수입하던 무역회사 사무실이 집중해 있던 곳"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들은 중국정부의 대북제재 조치로 인해 북한의 지하 자원 수입이 어렵게 되자 대북무역 관련자들이 북한 접경도시를 하나 둘씩 떠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단둥의 한 주민 소식통도 "생활정보지 부동산광고를 보면 압록강변의 이 건물 사무실의 임대광고가 유독 많다"면서 "한때 이 빌딩 사무실을 분양 받은 사람들은 임대료 수입이 좋아 남들의 부러움을 샀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이 빌딩은 업무용으로 허가를 받았기 때문에 살림집(아파트)으로 개조할 수도 없다"면서 "중국정부의 대북제재가 풀리지 않는 한 이 빌딩의 공동화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