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위조지폐의 왕국이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는 북한의 장마당에 최근 중국 위안화의 위조지폐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북-중 접경지역에서 위안화가 유통화폐로 자리를 잡아가면서 가짜 달러와 함께 위안화 위조지폐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방문차 중국에 온 신의주 주민 장 모 씨는 "가짜 비(인민폐)가 너무 많이 나돌아 고액권을 받을 때는 혹시 가짜로 밝혀질 경우에 대비해 지폐 번호를 따로 적고 돈을 준 사람의 수표(서명)를 받아놓는다"고 말했습니다.
지폐를 내는 사람에게는 귀찮은 일이지만 워낙 가짜 인민폐가 많이 나돌아 어쩔 수 없다는 설명입니다.
량강도 혜산의 한 주민도 "100위안짜리 가짜 인민폐가 많이 나돌고 있다"면서 "위조 인민폐가 중국 밀수꾼에 의해서 북조선에 유입되는 것이라는 얘기가 있다"고 전했습니다.그는 또 "믿기 어렵지만, 남조선 안기부가 공작차원에서 뿌리는 것이라는 근거 없는 소문도 떠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신의주의 대방과 거래하는 단둥의 무역업자 조 모 씨도 "조선 대방으로부터 건네받은 100위안짜리 뭉칫돈의 지폐 번호를 모두 복사한 뒤 돈 심부름을 한 사람의 수표(서명)를 요구한다"면서 "가짜 돈이 한두 장이어야지 이런 짓을 그만둘 게 아니냐"고 혀를 찼습니다.
한편 북한 장마당 등지에서 위안화 위폐가 발견되어도 이를 수거해 폐기하는 별도의 기관이 없는 탓에 북한에 떠돌고 있는 위폐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의 북한주민 소식통들은 "자기가 받은 인민폐가 가짜 돈으로 밝혀지더라도 모른척 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써먹고 계속해서 또 다른 사람에게 건네지기 때문에 가짜 돈은 없어지지 않는다"고 위조지폐의 악순환을 강조했습니다.
소식통들은 "중국이나 다른 나라에서는 위조지폐가 발견되면 모두 폐기처리 되지만 조선에서는 주민들이 소지한 외화가 은행에 들어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가짜 돈이 줄어들기는 고사하고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가짜 위안화의 유통은 주로 중국과의 접경 도시지역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미 달러화 위폐는 과거 북한정권이 대량으로 제작, 유통시킨 것으로 알려졌지만, 위안화 위폐의 출처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게 없는 실정입니다. 다만 북한 마약밀수꾼들과 중국 마약상들과의 거래과정에서 북한에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