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 주재 북한 외화벌이 일꾼들이 중국기업을 찾아 다니며 북한 노동자의 파견을 알선하느라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변경도시의 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의 외화벌이 주재원들이 북한의 노동 인력을 수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북한 무역일꾼들이 노동인력 수출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가장 큰 이유는 유엔 대북제재로 북한의 지하자원 수출이 막힌 탓"이라면서 "본국으로부터 노동인력 수출에 발 벗고 나서라는 독촉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주재원들이 노동인력 수출 건을 성사시킬 경우, 본인에게도 적지 않은 수입이 생기기 때문에 이(노동 인력 수출)는 주재원 입장에서도 싫지 않은 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인력 수출이 성사될 경우 노동자 임금 중에서 일부는 이를 성사시킨 주재원들에게 돌아가는 것이 관행처럼 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이와 관련 또 다른 중국소식통도 "중국 변경도시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의 임금은 월평균 2,000위안 정도"라면서 "이중 한 명당 100위안 정도가 이를 알선한 주재원에게 매달 지급되며 노동자 본인에게는 4~5백 위안이 차례지고 나머지 1,500위안 정도는 북한당국이 가져간다"고 주장했습니다.
"해외 파견노동자를 관리하는 책임자에게는 인력을 고용한 업체에서 따로 좀 챙겨주기도 하고 그게 여의치 않을 경우, 노동자들에게 돌아가는 임금에서 일부를 떼어내 관리 책임자에게 지급한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노동자를 알선한 주재원의 경우도 자신에게 돌아가는 몫을 혼자 챙기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뒤탈이 없도록 하기 위해 수입의 일부를 공관과 보위부의 요원 등에게 바쳐서 미리 입막음을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이처럼 노동자 수입을 놓고 서로 나눠먹는 관행은 본국에서도 알고 있지만 눈감아주고 있다"며 "만약 이 같은 관행을 처벌하거나 막는다면 주재원들이 노동인력수출에 적극 나서겠느냐"고 반문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