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중국 조교들에도 충성자금 강요

0:00 / 0:00

앵커: 북한당국은 중국에 둥지를 틀고 살고 있는 자국민 즉, 중국 내 조교(朝僑)들에도 충성의 자금을 바치도록 강요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전합니다.

중국에 정착해 살고 있는 북한 주민, 일명 조교(朝僑)들도 북한국적을 갖고 있는 이상 충성의 자금을 바치라는 북한당국의 강요를 피하지 못하고 있다는 전언입니다.

조교들의 사정에 밝은 중국의 한 소식통은 최근 이 같은 소식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하면서 북한당국의 통제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울 것 같은 조교들이 왜 북한당국에 충성자금을 바쳐야 하는지 그 속사정을 전했습니다.

"일본에 살고 있는 북한국적 주민들을 조총련이라고 부르는데 반해 중국에 살고 있는 북한공민들은 통상 조교(朝僑)라고 부른다"고 운을 뗀 소식통은 "중국에 있는 조교들은 선양에 본부를 둔 '재중 조선인총련합회'가 주축이 되어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일성, 김정일 생일이나 북한의 큰 행사가 있을 때마다 그들도 충성의 자금을 강요 받고 있는데 그 까닭은 조교들이 10년 만기의 북한 여권을 소지하고 있는데다 북한공관에서 발급하는 (장기)출국 비자를 주기적으로 받아야 중국 당국으로부터 (장기)거류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사정이 이렇기 때문에 중국에 살고 있는 조교들은 북한의 정치적 명절이나 큰 행사가 있을 때마다 이번에는 얼마를 내야 하는지 눈치를 살피기 마련"이라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중국의 또 다른 대북 소식통도 "북한당국이 최근 들어 이들에게 충성의 자금을 강요하는 빈도가 점점 증가하는 걸로 보아 북한의 외화사정이 더욱 어려운 것으로 짐작된다"면서 "이들이 내는 충성 자금 액수는 금액이 정해진 것은 아니며 자기 스스로 알아서 성의껏 내도록 되어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의 랴오닝, 지린, 헤이룽장성 등 주로 동북 3성에 분포되어 살고 있는 조교들은 대략 4~5천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으며 중국국적으로 국적을 바꾸고 싶어 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이민을 인정하지 않는 중국의 정책에다 북한당국이 이들에게 국적포기 확인서를 일체 발급 해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들 조교들은 자신이 북한공민이라는 사실이 노출되는 것을 싫어해 중국인 또는 조선족 행세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북한당국은 자본주의의 단맛을 톡톡히 본 이들이 북한에 돌아와 사는 것을 극도로 꺼려 북한에 정착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다는 소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