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심각한 전력난을 겪고 있는 북한 주민들의 야간 조명 해결책으로 태양열 조명등이 각광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제 태양열 조명등의 등장으로 북한주민들이 야간에 불빛을 보게 되었다는 전언입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북한과의 무역이 활발한 단둥 해관 주변에 최근 1~2년 사이에 태양열 조명 등 판매점들이 크게 늘어나면서 북한 손님들을 상대로 판매경쟁을 벌이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신의주의 한 주민소식통은 최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신의주의 전체 가구 중 절반 정도가 태양열 조명등을 갖추고 있는 실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전기사정이 가장 좋다는 평양에도 웬만한 가정에서는 태양열 조명등을 설치해놓고 있다고 이 소식통은 주장했습니다.
단둥의 해관 주변의 한 태양열 조명등 상점 주인은 "1천 500위안 정도면 태양열 집열판과 밧떼리(축전기)를 포함해 일반 전구보다 훨씬 밝은 LED 전구까지 일체를 구입할 수가 있다"면서 "한 번에 여러 개를 구매하면 좀 더 가격을 내려줄 수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가게 주인은 "작년까지만 해도 이런 제품은 2,000위안이 넘게 팔려 나갔지만 최근에는 북한사람들이 몰려오는 바람에 새로운 가게도 많이 생겨나고 판매경쟁이 치열해져 가격이 내린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제품 하나면 방 3개의 조명은 충분히 해결할 수 있고 손전화기 충전과 작은 액정 텔레비전 시청도 동시에 가능하다"고 가게 주인은 열심히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얼마 전 위성에서 관측된 북한의 야간풍경이 전보다 조금 밝아졌다는 외신보도가 있었다"면서 "북한에 널리 보급되기 시작한 태양열 조명등 덕분이 아닌가 생각된다"고 진단했습니다
단둥 해관 부근의 또 다른 조명등 가게주인은 "태양열 조명등의 성능은 다 비슷하고 집열판도 타격을 가하지 않는 한 반 영구적에 가깝지만, 축전지(배터리)의 수명은 약 1년 정도밖에 안 된다"면서 "제품을 구입해간 북한사람들 중 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배터리를 교환해달라고 떼를 쓰는 사람들도 있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비록 태양열 조명등이 북한주민들 속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지만 1천 500위안이 넘는 조명등 값은 일반 주민들에게는 상당히 부담스러운 가격이라는 게 소식통들의 지적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