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중국이 북한의 6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경고하면서 대북제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북-중 세관을 중심으로 한 양국 간 무역에 이상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고 현지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핵개발에 집착하는 북한을 압박하기 위한 중국정부의 대북제제가 본격화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경연선의 소식통들은 북·중 무역에 아직은 이렇다 할 변화가 없다고 말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25일 "봄철을 맞아 조·중 세관을 통과하는 무역 차량행렬이 조금씩 늘고 있다"면서 "외부에서는 마치 중국이 조선을 경제적으로 압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현재 양국세관의 통관절차에는 아무런 제한도 없고 교역도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해마다 이맘때면 중국이 쌀이나 비료와 같은 일부 상품에 관세를 높이는 경향이 있었다"며 "양 측의 무역업자들은 관세를 올리는 시기를 피해 무역교류를 하는데 올해는 아직까지 중국 측이 관세를 올리지 않아 낮은 관세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관세인상을 걱정하며 거래에 소극적이던 무역일꾼들이 중국의 낮은 관세 유지를 반기고 있다"며 "조선의 무역일꾼들은 중국 측의 이런 방침이 무역거래를 더욱 활발히 진행하도록 부추기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당국은 또 경제제재 대상에서 제외된 개인차원의 무역거래를 확충하기 위해 군부나 중앙의 외화벌이 기관들도 기관 명칭을 빼고 개인 명의로 무역관련 서류를 조작하는 등 편법을 동원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말했습니다.
이런 사정을 모르는 중국기업들은 가명으로 된 개인과 무역거래를 하다 문제가 생기면 본전도 못 찾게 되는 큰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소식통은 우려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26일 "최근 북·중 세관을 통해 정식으로 거래하는 무역일꾼이나 장사꾼들이 더 늘고 있다"면서 "얼마 전 중국이 강력한 대북제제를 시행할 것이라는 소식이 있었는데 오히려 중국과의 무역교류가 더욱 탄력을 받고 있는 것 같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조선의 살길이 중국에 의존하는 길밖에 더 있냐"면서 "개인 무역회사로 위장한 외화벌이기관들이 중국으로부터 생필품과 농산물 외에도 건설자재와 농업관련 물자까지 대량으로 들여오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