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주민들 속에서 반중감정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당국이 주민생계가 어려워진 원인을 중국정부의 대북제재 탓이라고 선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현지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관련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중국의 대북제재가 본격화 되면서 북한내부의 반중감정이 고조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북·중무역과 해외근로자파견 등 외화벌이가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관광사업도 중단위기에 몰려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8일 "중국의 경제제재여파로 전국의 시장물가가 일제히 오르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중국의 경제제재가 현실화 되면서 습근평(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 대한 반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도 무역국에서 신발, 가방, 의류 등을 생산하는 중국업체에 노동자들을 파견하려다 갑자기 취소되었다"면서 "이에 해외파견을 가지 못하게 된 주민들이 거친 말로 반중감정을 쏟아내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중국과의 교역중단은 곧바로 시장물가 상승으로 이어졌고 간부들은 주민들에게 반중감정을 조장하는 내용의 말을 퍼뜨리고 있다"며 "중국도 미국이나 일본과 같은 조선민족의 원쑤라고 떠벌리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이어 "일부 주민들과 간부들은 습근평(시진핑) 중국주석을 '70여년의 혈맹을 헌신짝처럼 저버린 간신배'로 부른다"면서 "경제적 이해관계에 따라 조선에 붙었다, 미국에 붙었다 하는 중국과의 조·중 친선은 애당초 망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8일 "무역뿐 아니라 북·중 관광업에도 중국의 대북제재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지난 9월 15일경 중국정부의 북한관광금지 지시가 내려졌고 이달 들어 중국인들의 당일(1일) 조선관광이 중단되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청진시 국제여행사는 중국 연길의 여행사와 합작으로 명승지로 이름난 칠보산 관광사업을 벌여 많은 외화를 벌어들인 업체"라면서 "하지만 한창 가을 관광철을 맞아 잘 나가던 1일관광이 중단되어 큰 손해를 보게 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중국정부가 내년 1월초까지 모든 조-중 합작회사들에 폐쇄명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지면서 중국여행사에는 조선관광 신청자가 없다"면서 "현재 중국과 합작형태로 운영되는 회사는 모두 연내에 문을 닫을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들은 북한내의 반중감정은 대북제재 이전에도 있었지만 본격적인 대북제재가 시작되고 주민생계가 어려워지자 더욱 확산되는 추세라고 강조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