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외화난을 겪고 있는 북한이 중국에 연고가 있는 주민들을 외화벌이에 내몰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중국에 가족친척이 있는 주민들에게 보위부가 무더기로 여행증을 발급해 주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해왔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19일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지난 6년동안 중국에 있는 친척 방문신청을 했지만 번번이 거절당했었는데 최근 갑자기 여행증이 발급되었다"면서 "중국 친척방문을 아예 포기하고 있었는데 보위부에서 사전 통고도 없이 여행증을 들고 찾아왔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지금껏 뇌물을 주지 않는다고 쳐다보지도 않더니 갑자기 여행증을 주며 친척방문을 하라고 등을 떠밀고 있다"며 "6년동안 10번 넘게 신청했지만 나 같이 힘없는 사람은 보위부 외사과 심사를 통과할 수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나뿐 아니라 중국에 친척이 있는 사람들은 여행증을 발급받았다"며 "여행증을 발급받은 대신 보위부에 무조건 5천 위안씩 바치라고 강요하고 있어 선뜻 친척방문을 할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최근 사사여행증을 발급받아 중국의 친척을 방문했다는 한 주민은 "몇달 후 귀국하면 보위부에 중국 인민폐 5천 위안을 바쳐야 하기 때문에 지금 친척이 운영하는 식당에서 그릇 씻는 일을 하며 돈을 모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일단 보위부에서 억지로 여행증을 발급해주면 친척방문을 가지 않을 수 없다"며 "(김정은) 장군님의 '특별배려'로 여행증이 발급됐기 때문에 여행을 다녀와서 무조건 충성의 자금을 바쳐야 한다는데 누가 감히 '특별배려'를 거절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중국으로 나오기 한 달 전부터 보위부로 부터 남조선(한국)텔레비죤(TV)이나 잡지 등 불건전한 요소를 멀리하라는 사상교육을 받았다"며 "이런 지침을 위반하거나 남조선으로 도주를 시도할 경우, 가족이 처벌받는다는 문서에 서명까지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중국에 친척이 있는 사람들 20여명과 함께 나왔는데 우리 뒤로도 나올 사람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며 "중국에서 일을 해도 한 달에 고작 2천 위안 정도 버는데 5천 위안의 충성자금을 어떻게 마련해야 할지 막막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 "중국 친척방문으로 가족들을 위한 중고 옷가지와 먹을 것을 마련할 수 있었는데 이제는 충성의 자금 때문에 친척이 전해 준 식품과 옷가지도 장마당에 내다 팔아야 한다"며 당국을 원망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