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러시아가 내달 북한 나선경제특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사업 타당성 조사에 나설 예정입니다. 타당성 조사에 이어 사업 추진이 결정되면 빠르면 내년부터 전력을 북한에 수출하게 됩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러시아가 대북송전사업을 위한 첫 발을 내딛습니다.
러시아 극동지역의 전력생산기업인 '라오 에스 보스토카(동부 라오 에너지 시스템)'가 북한 나선특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사업 타당성 조사에 나선다고 유력 일간지인 '코메르산트'가 최근(1월21일자) 보도했습니다.
신문은 사업 타당성 조사를 수행할 업체 선정이 내달 초 이뤄질 예정으로 수익성 등 대북 전력 수출 사업의 시행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게 된다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그 동안 나선특구 측과 전력공급 문제를 논의해온 러시아 측은 조사 결과 사업에 타당성이 있다는 결론이 나오면 곧바로 송전시설 설치에 나서 빠르면 내년부터 북한에 전력을 공급할 계획입니다.
러시아 극동 연해주 지역 발전소에서 생산된 잉여전력을 새로 건설될 연해주-하산-나선을 잇는 송전선로를 통해 북한으로 끌어온다는 복안입니다.
러시아 측은 나선지역에 대한 전력 수출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북한을 거쳐 남한에까지 전력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코메르산트는 덧붙였습니다.
신문은 연해주-나선특구 전력공급 사업이 러시아가 주도하고 있는 시베리아-한반도 연결 철도 건설과 나진항 개발 사업 활성화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러시아 측이 북한으로부터 전력 사용료를 받아 내는 문제는 여전히 숙제라고 지적했습니다.
과연 북한이 러시아 측에 전기사용료를 지불할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는 겁니다.
북한 경제 전문가인 미국 피터슨경제연구소 마커스 놀란드 부소장은 북한의 약속 불이행 전력이 북러 간 경협의 진전에 최대 걸림돌 중 하나라고 지적했습니다.
마커스 놀란드 박사: 문제는 북한이 과거 빚을 갚지 않은 전례가 있다는 점이죠. 결국 양국 간 경제협력이 예정대로 진척되기 위해선 북한의 약속 이행 여부와 러시아가 정치적, 외교적 이유에서 (경제적 이익과 상관없이) 북한을 도울 준비가 돼 있는가가 관건입니다. 두고볼 일이죠.
앞서 북한과 중국은 지린성 훈춘에서 송전시설을 새로 설치해 나선특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현재까지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