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억류 선원 석방 뒤 북에 ‘진상’ 압박

0:00 / 0:00

앵커: 조업중 북한에 억류됐던 중국 어선과 선원이 21일 석방됐습니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진상 조사와 재발 방지를 북한 당국에 공식 요구하고 나서는가 하면 중국 언론은 양국 간 어업 분쟁에 단호히 대처할 것을 주문하는 등 이번 사건의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 달 초 서해상에서 조업중 북한 무장경비함에 나포돼 2주 넘게 억류됐던 중국 어선 랴오푸위 25222호와 선원 16명이 21일 석방됐습니다.

중국 관영 매체는 이날 어민 석방 소식을 속보 형태로 전하면서 북 측이 요구했던 몸값 지불은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 관영 매체 (녹취) : 선주는 주북한 중국대사관에 어선과 선원이 안전하게 귀환중이라고 알려왔습니다. 북한이 요구한 벌금은 지불하지 않았습니다.

중국 외교부가 어민 억류를 공식 확인하고 북한 당국에 이번 사건의 빠른 해결을 촉구한 지 하루만입니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이번 사건과 관련해 이날 이례적으로 북 측에 진상 조사와 재발 방지를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나서 주목됩니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북한에 이번 사건을 철저히 조사해 그 결과를 알려 줄 것과 유사한 사건의 재발을 막기 위해 철저한 조처를 취해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그 동안 비슷한 사건을 북한과 물밑 교섭을 통해 조용히 처리하던 관례에서 벗어나 북한 당국에 작심하고 불만을 공식 제기하고 나선 겁니다.

중국 관영매체도 이날 중국 정부가 북한의 어선 나포 행위에 대해 국제규범에 맞게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거들었습니다.

중국 공산당의 입장을 대변해온 글로벌타임스는 사설을 통해 중국이 단호한 태도를 보이지 않아 북한의 선원 억류와 몸값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신문은 북한이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돼 국제규범 준수 의지가 미약할 수 있다고 꼬집고, 말이 아닌 행동으로 북한을 가르쳐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 정부가 북한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이제까지와 달리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나선 겁니다.

비록 북한이 억류됐던 어민을 석방하고 선박을 돌려줬지만 이번 사건의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