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과 러시아가 지난 주 워싱턴에서 한국전쟁 당시 미군 포로와 실종자의 생사 확인과 유해 반환을 위한 양국 간 공동위원회 실무회의를 개최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러시아 전쟁 포로∙실종자 공동위원회' 산하 한국전쟁 실무그룹 전문가 회의가 지난 10, 11일 이틀간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됐다고 북한 주재 러시아대사관이 14일 밝혔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한국전쟁 당시 임무 수행 중 격추된 미군 공군기 조종사와 승무원의 생사 확인과 유해 발굴과 관련한 문제가 중점 논의됐다고 러시아 측은 덧붙였습니다.
또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옛 소련 공군이 작성한 전황기록 중 미군 실종자와 포로 관련 부분에 미국 측의 접근을 확대하는 방안 등 양국 간 협력강화도 협의됐습니다.
러시아 대사관에 따르면 기밀해제된 옛 소련의 한국전 관련 문서를 통해 지금까지 300명 이상의 미군 실종자 관련 정보가 미국 측에 제공됐습니다.
'공동위원회'는 1992년 미∙러 양국 간 합의에 따라 구성됐으며 산하에 2차세계대전, 한국전쟁, 베트남 즉 윁남 전쟁, 냉전 등 4개 실무그룹이 있습니다.
주로 군사기록 열람과 참전용사 면접 등을 통해 실종 군인과 전쟁포로의 생사 확인과 유해발굴에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번 실무그룹 회의는 북한 핵과 미사일 개발을 둘러싸고 한반도 긴장이 이어지면서 미국과 러시아, 중국 등 주변국 간 협력이 더 절실해지고 있는 가운데 열려 주목됩니다.
또 미국이 북한에서 미군유해 발굴과 송환 작업을 조속히 재개하도록 규정한 북한인권법 연장안이 의회에 발의돼 심의중인 가운데 회의가 열린 점도 눈길을 끕니다.
미 하원 외교위원회는 지난 달 북한인권법 시행을 내년부터 5년간 재연장하는 법안을 채택하면서 북한 내 미군유해 송환 재개를 위한 보고서 제출을 의무화했습니다.
북한 내 미군유해 발굴 재개는 미국과 북한 간 관계 개선의 물꼬를 틀 수 있는 사안이라고 빌 리처드슨 전 뉴멕시코 주지사는 밝힌바 있습니다.
빌 리처드슨: 미군유해 발굴 문제는 미북 관계 개선을 위한 한 방안으로 양국 관계를 진전시키는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북한 내 미군 유해 발굴 작업은 1996년 시작돼 2012년 5월까지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면서 모두 33차례 이뤄졌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