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북 주민 15만 방중 연말 20만 돌파 예상

중국과 북한의 국경 압록강에서 배를 타고 가던 북한 주민들과 군인들이 유람선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중국과 북한의 국경 압록강에서 배를 타고 가던 북한 주민들과 군인들이 유람선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0:00 / 0:00

앵커: 올 들어 지난 9월까지 취업 등을 위해 중국을 방문한 북한 주민이 15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해 같은 기간에 비해 12% 이상 늘어난 수치로, 이런 추세라면 올 해 중국을 찾는 북한 주민 수가 처음으로 2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올 들어 지난 9월까지 취업 등을 위해 중국을 합법적으로 방문한 북한 주민 수가 15만명에 이른다고 중국 정부가 14일 밝혔습니다.

중국 국가여유국이 이날 발표한 '2013년 1~9월 외국인 입국현황'에 따르면 이 기간 중국을 방문한 북한 주민 수는 14만9천500명으로 지난 해 같은 기간(13만3천명)보다 12(12.43)% 늘었습니다.

방문 목적은 공장이나 식당 등에서 일하기 위한 취업 목적이 6만8천 명(전체의 45%)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회의 참석•사업(4만400명), 기타(3만8천600명), 관광•휴가(2천400명), 친지방문(100명)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연령별로는 각각 45~64세가 6만4천800명, 25~44세가 6만4천200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성별로는 남자가 11만4천명, 여자가 3만5천500명이었습니다.

올 해 중국을 찾는 북한 주민 수는 국가여유국이 매 분기별 발표하는 외국인 입국 통계에서 12~14%(1~3월 14%, 1~6월 12%)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올 해 중국을 방문하는 북한 주민 수가 처음으로 20만명을 돌파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입니다.

지난해 중국을 방문한 북한 주민 수는 모두 18만600명이었습니다.

북한의 3차 핵실험 강행과 전쟁 위협 등 도발, 그리고 이에 따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에도 불구하고 북중 양국 간 교류는 계속되고 있다는 방증이어서 주목됩니다.

취업 등을 위한 북한 주민들의 중국 방문은 북중 양국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부분이어서 앞으로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 MIT대 존 박 연구원은 예상했습니다.

존 박 연구원: 지금은 마치 북한이 중국의 등에 올라 탄 채 경제개발에 나선 형국입니다. 앞으로 더 큰 규모의 북한 근로자 중국 파견이 이뤄져 김정은 정권을 위한 주요 자금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올 들어 지난 9월까지 중국을 방문한 전체 외국인 수가 지난 해 같은 기간에 비해 5% 감소한 점을 감안하면 북중 양국 간 활발한 교류 움직임은 더욱 뚜렷합니다.

이 기간 중국을 방문한 외국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한국인 수(29만8천770명) 역시 지난해에 비해 3.7% 감소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