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원 외교위, 미국인 납북 재조사 결의 채택

0:00 / 0:00

앵커: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가 중국에서 여행 도중 실종된 미국인 대학생의 납북 가능성에 대한 행정부의 전면 재조사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2004년 8월 중국 윈난성에서 산행중 실종돼 아직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는 미국인 대학생 데이비드 스네든.

당시 발을 헛디뎌 협곡 아래로 미끄러진 뒤 급류에 휩쓸린 걸로 조사를 맡았던 중국 당국이 최종 결론지었습니다.

하지만 북한 당국에 납치됐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가족과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사건을 재조사해야 한다는 요구가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중국 내 탈북자들이 동남아로 가기 위해 자주 경유하는 윈난성 일대에 북한 요원들이 많이 파견돼 있고 유사한 외국인 납치 사례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급기야 미국 의회도 행정부에 이 사건에 대한 재조사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상원 외교위원회는 8일 전체회의를 열어 국무부와 정보당국이 합동으로 스네든 실종 사건에 대해 전면 재조사에 나서도록 한 결의안(S.CON.RES.30)을 만장일치로 채택했습니다.

밥 코커(공화∙테네시) 외교위원장은 이날 결의안 처리에 앞서 미국 정부가 스네든의 실종과 관련된 어떠한 정보에 대해서도 계속 조사해야 한다며 지지를 호소했습니다.

밥 코커: 데이비드 스네든의 실종과 관련한 결의안을 발의하신 리 상원의원에 감사드립니다. 결의안을 지지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마이크 리(공화∙유타) 상원의원이 대표 발의하고 마르코 루비오(공화∙플로리다), 크리스토퍼 쿤스(민주∙델라웨어) 상원의원 등 7명이 초당적으로 공동 발의에 참여한 결의안은 곧바로 상원 본회의로 넘겨졌습니다.

결의안은 특히 북한에서 파견된 요원들이 스네든을 강제로 납치했을 가능성에 대해 미국이 조사하도록 명시했습니다.

또 사건이 발생한 중국은 물론 과거 납북 피해자가 발생한 한국과 일본 정부, 그리고 북한에 외교적 영향력이 있는 외국 정부와도 협력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결의안은 이 같은 전면 재조사 결과를 행정부가 의회와 스네든의 가족에게 직접 통보하도록 했습니다.

앞서 미국 하원도 지난 9월 말 같은 내용의 결의안(H.Res.891)을 채택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