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당자금을 벌어들이는 외화벌이 일꾼들에게 인센티브제, 즉 번 것만큼 개인에게 돌아가는 이윤도 크게 해주는 방법으로 돈벌이를 장려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유엔제재로 외화벌이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자, 북한이 해외 상사원이나 해외공작원들에게 성과를 더 내도록 물질적 자극을 높여주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현재 제3국에 체류하고 있는 한 대북소식통은 "정찰총국 공작원들 중에 신흥자본가가 된 사람들도 적지 않다"면서 "중국 대련에서 활동하는 정찰총국 전투원은 평양에 건설되는 아파트 건설에 적지 않게 투자하는 수준"이라고 18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이렇게 초기에 투자해놓고 공사가 완성된 다음 아파트를 몇 채 받는 식으로 재산을 증식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평양시 김일성종합대학 주변에는 수십 동의 아파트와 공공건물을 짓는 대규모 토목공사인 '려명거리' 건설이 한창입니다.
려명거리 건설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지시로 착공됐지만, 자금이 부족한 인민군 부대들과 시공업체들은 신흥 돈주들로부터 직간접적으로 투자 받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입니다.
이 소식통은 정찰총국 전투원들이 돈을 벌게 된 배경에 대해 "이들은 중국에서 컴퓨터 게임개발과 금융전산망 해킹 등을 통해 적지 않은 수입을 올리고 있다"면서 "북한 당국도 이렇게 벌어들인 수익가운데 일부를 개인에게 허용해주는 식으로 물질적 욕구를 자극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북한당국은 두뇌가 뛰어난 영재들을 어려서부터 특별 교육시켜 정찰총국 전투원으로 키운 다음, 중국과 동남아 등 여러 나라에 보내 외화벌이를 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처럼 신흥자본가로 된 사람들 가운데는 외국에 장기 체류하는 북한 상사원들도 있습니다.
북한 외화벌이 일꾼들과 접촉하고 있는 중국의 한 소식통도 "베이징과 상해 등에 나가 있는 노동당 39호실 산하 대성무역 상사원들은 보통 미화 100만달러 정도를 소유하고 있다"면서 "이들은 국가 상납금 외에도 적지 않은 돈을 몰래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김정일 시대에는 이렇게 돈을 감췄다가 들통나면 일벌백계의 처벌을 받았지만, 김정은 정권은 이들을 알고도 모른 체 하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유엔제재가 목줄을 죄는 지금 같은 불경기에는 정권에 돈을 벌어주는 외화벌이 일꾼들, 즉 '돈 버는 기계'들에게도 특혜를 베풀고 있다는 겁니다.
지난 15일 북한 노동당 제7차대회를 취재하기 위해 평양을 방문했던 외신 기자는 평양의 1% 특권층은 자본주의 풍요한 물질 문화를 즐기고 있다고 전하면서, 특권층이 즐기는 곳을 가리켜 '평해튼'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즉 특권층의 소비가 이뤄지는 이곳은 세계에서 물가가 가장 비싸기로 소문난 미국 뉴욕의 맨해튼 거리와 비슷하다는 관측입니다.
소식통은 "이런 신흥자본가들은 평양뿐 아니라 신의주와 평성, 나선시에도 적지 않게 있다"면서, "앞으로 평양정권은 이런 능력 있는 신흥자본가들과 공생 공존하는 방향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