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카카오톡 사용자 ‘간첩’으로 취급

0:00 / 0:00

앵커: 한국에서 개발된 카카오톡, 즉 스마트폰(스마트 손전화)를 이용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수단이 북한에 유입되기 시작하자, 보안당국이 엄단에 나섰다고 합니다. 카카오톡을 쓰는 사용자들을 간첩으로 몰아 처벌한다고 하는데요,

정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카카오톡을 이용해 평안북도 내부 주민들과 수시로 연락하고 있는 한국의 30대 탈북자 현 모 씨는 북한 보위부가 최근 국경일대에서 '카카오톡' 사용자를 잡기 위해 상당히 눈을 밝히고 있다고 지난 3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현씨: (카카오톡을 쓰면)엄청 문제가 커요. 그래서 그들도 함부로 잘 하지 않아요. 아주 엄중하게 보거든요. 완전 간첩으로 봐요. 카카오톡과 인터넷을 하면요.

2010년 한국에서 개발된 카카오톡은 스마트 손전화에 앱을 적재(다운로드)한 다음 무료로 상대방에게 문자와 사진도 보내고, 대화도 할 수 있는 다목적 통신 수단입니다.

이 카카오톡은 무선전화 신호나 무선인터넷 신호가 있는 곳이면 세계 어디든 통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현재 중국과 미국은 물론 유럽에도 널리 퍼져 가입자만해도 1억 4천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에도 이러한 카카오톡이 유입되고 있다고 주장한 현 씨는 "북한이 방해전파를 너무 쏴서 전화하기 어렵던 차에 중국에서 새로 스마트폰을 구입해 카카오톡을 깔아 들여보냈더니 문자와 사진도 주고받을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습니다.

현 씨는 "국경일대에서 카카오톡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으면 단속에 쉽게 걸리지 않고, 낮은 신호에도 메시지가 전달되기 때문에 북한 내부 협조자들과 통하기가 수월하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국경지방에 거주하는 북한 주민들 속에서는 카카오톡을 장착한 스마트 폰이 좋다는 소문이 나면서 중고 스마트 폰은 300달러 이상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카카오톡을 이용해 북한 주민들이 한국과 미국 등 세계 여러 나라와 연락이 가능하다는 걸 눈치 챈 북한 보위부가 강력 차단에 나섰다고 복수의 소식통들은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평안북도 신의주와 연락하고 있는 한국 내 탈북자 양모씨도 "보위부가 손전화를 단속하면 우선 바탕화면에 카카오톡 앱이 깔리지 않았는지 눈을 밝힌다"면서 "만일 카카오톡 메시지가 발견되면 간첩으로 몰아붙이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양씨는 "신호가 약해도 카카오톡은 메시지는 오가지만, 사진과 음성통화는 안된다"면서 "보위부가 발사하는 방해전파가 카카오톡 메시지까지 차단하는지는 잘 모르겠다"고 반응했습니다.

최근 세계적으로 새로운 정보통신기술들이 하루가 다르게 쏟아져 나오면서 통신수단들도 지능화 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 보안당국도 이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