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김정일 4주기 행사 간소화하라”

0:00 / 0:00

앵커: 12월 17일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한 지 4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하지만, 이날 행사를 크게 하지 말라는 중앙의 지시가 하달되어 주민들이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소식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4주기 추모대회를 하지 말라는 지시를 긴급 하달한 것으로 17일 알려졌습니다.

함경북도 국경지방을 통해 연락이 된 한 주민은 "중앙에서 올해는 추모대회를 하지 말라는 지시문을 긴급 포치(지시)했다"면서 "이 뜻밖의 지시에 사람들은 좀 어리둥절해했다"고 17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지난해 김정일 위원장 3주기 행사를 크게 진행했던 북한 주민들은 올해도 예년과 비슷한 규모로 진행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뜻밖에 작게 하라는 지시에 놀라는 분위기라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간부들에 대한 잦은 숙청과 처형 등으로 권력기반이 안정적이라고 볼 수 없는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백두혈통'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라도 '충효심' 차원에서 김정일 위원장 추모행사를 크게 할 것으로 관측됐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북한 주민들은 단체로 모여 김일성 김정일 동상 앞에 꽃다발을 바치고, 동상이 없는 지방에서는 김정일 초상화가 있는 모자이크 벽화와 유화작품 앞에 꽃을 올리는 정도로 간단하게 치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정은 제1비서도 17일 0시를 기해 북한군 지휘간부들을 대동하고,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다고 이날 조선중앙방송이 보도했습니다.

북한이 이처럼 김정일 4주기 행사를 간소화한 배경과 관련해 다른 북한주민들도 특별한 언급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미국에 정착한 한 탈북 여성은 "북한에서 4자는 불길한 숫자로 조심해야 한다는 관행이 있어 올해 추모대회를 간소화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조심스럽게 말했습니다.

그는 "김정은이 점쟁이를 옆에 두고 정치한다는 말은 웬만한 북한 사람들도 다 안다"면서 "특히 숫자 4가 불길하다는 점쟁이의 조언을 받아들여 올해 행사를 작게 했을 가능성도 있는데, 사실이 아닌지는 내년 행사를 보면 알 수 있다"고 피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