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정부가 자국민의 북한 여행을 금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무부 헤더 노어트 대변인은 21일 "북한의 법집행 체제 하에서 체포와 장기 구금의 심각한 위험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북한에 대한 '특정 지역 여행 금지령'(geographical travel restriction)을 내리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에 따르면 북한 여행 금지 조치는 다음 주 중 연방 관보(the federal register)에 게재되며 관보 게재 시점으로부터 30일 후 발효될 예정입니다. 현재 21일자 연방 관보에는 여행금지령이 게재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특정 지역 여행 금지령에 따르면 미국 여권을 소지한 미국인이 여행 금지 국가에 입국하게 되면 불법행위로 간주됩니다.
현재 국무부는 관보 게재 시점과 북한 여행 금지 조치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공개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30일간의 유예기간에 현재 북한에 머물고 있는 미국 국적의 여행객이나 인도주의 활동가들이 일정을 변경하거나 미국으로 귀국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면서 노어트 대변인은 인도주의 지원 또는 특별한 목적으로 북한을 방문하려는 개인은 유효한 특별 여권(special validation passport)을 통해 예외적으로 방문을 허용한다고 말했습니다.
해당 신청 절차에 대한 정보는 국무부 웹사이트(travel.state.gov)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인들의 북한 여행이 금지되고 인도적 지원 목적의 북한 방문에 추가 절차가 요구돼 대북 인도적 지원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또한 미국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에서도 북한에 대한 여행을 금지하는 유사한 조처가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영국의 경우 지난달 북한 여행 주의보를 갱신한 바 있습니다.
미국의 이번 조치는 북한에1년 7개월간 억류됐다 귀국한 뒤 지난달 19일 사망한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 사건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이날 웜비어의 북한 여행을 주선했던 영 파이어니어스 투어스는 성명을 통해 "미국 당국이 오는 27일 북한 여행 금지명령을 발표한다는 것을 통보받았다"며 "이 명령은 발표 당일부터 30일 이후에 발효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