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외교관들은 이번 유엔 총회에서 미국을 맹비난하면서도 총회 기간 내내 휴대폰 등 전자제품은 미국산을 애용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용호: 나는 먼저 4일전에 신성한 이 유엔회의장을 심히 어지럽힌 미국 대통령이라는 자의 연설에 대해 론평하고 본론에 들어가려고 합니다.
북한 리용호 외무상은 지난 23일 유엔본부 기조 연설에서 미국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맹비난했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리 외무상의 기조연설 와중에도 북한 대표부에 앉은 북한 외교관들이 미국 전자제품을 사용하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이날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 조정철 1등 서기관이 리 외무상의 기조연설을 하는 모습을 담기 위해, 북한 대표부 자리에서 직접 일어나 총회장 중앙으로 이동하면서까지 사진을 찍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당시 조 서기관이 사진 촬영에 사용한 전자기기는 다름 아닌 미국 애플사의 지능형 손전화기인 아이폰이었습니다. (윗 사진)
조 서기관 등 북한 외교관들이 사용한 미국 제품들은 애플사의 아이폰 뿐만 아니라 태블릿PC, 즉 판형 컴퓨터인 '아이패드', 휴렛팩커드(HP)사의 노트북 등이었습니다. (아래 사진)

아울러 리 외무상이 기조연설을 하는 날 북한 대표부를 취재하는 북한 언론매체와 기자는 전혀 없었습니다.
또한 유엔 본부에서 세계 각국의 언론인들이 모인 종합 보도실(media center)과 유엔 총회 기자석에서도 북한 언론매체와 기자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아래 사진)

이와 관련 유엔 공보국의 한 관계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번 총회에 취재 신청을 한 북한 언론 매체와 북한 기자는 전혀 없다”고 밝혔습니다.
통상 유엔 본부에서 외교전을 치르고 있는 유엔 총회 기간에는 전 세계 190여개국이 자국의 외교활동을 일거수일투족 기록하고 홍보하기 위해 기자단을 수행하는 데 반해 북한측의 행보는 달랐습니다.
이에 따라 조 서기관 등 북한 외교관들이 리 외무상의 기조연설 장면을 직접 촬영에 나서면서 1인2역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미국을 주적으로 규정하고 비난하는 김정은 노동당위원장도 미국 애플사의 아이맥 컴퓨터와 아이패드를 애용하는 모습이 여러차례 포착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