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중국친척 방문 무기한 금지

0:00 / 0:00

앵커: 북한이 지난 3월부터 주민들의 중국 '사사여행'을 불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로 인해 개인 장사꾼과 공장기업소들의 피해가 크다고 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에 가족, 친척이 있는 북한주민들은 당국의 허가를 받아 '사사(개인)여행'을 할 수 있습니다. 사사여행으로 중국에 자주 드나들던 북한 주민들이 지난 3월 이후 당국의 허가가 나지 않아 중국방문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올해 3월 초부터 국가보위부가 중국 여행사증을 허가하지 않고 있다"며 "이미 중국에 나가 있던 사사여행자들도 국가보위부가 현지까지 찾아다니며 3월 중순까지 모두 귀국토록 조치했다"고 12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중국에 가족 또는 가까운 친척이 있는 사람들의 개별방문 사증은 각 도 보위부 외사과에서 떼어준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주민들이 보위부에서 사증을 떼려면 외사과에 중국인민폐 3천 위안을 뇌물로 바쳐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북한 주민들은 장사를 목적으로 중국 사사여행을 가는데 그 과정에서 상당한 부를 축적한 사람들은 지방에서 알아주는 '돈주'가 됐다"고 전한 소식통은 "올해 3월부터 중국 여행사증 발급이 중단돼 사사여행자들의 장사길이 완전히 막혔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14일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일반주민들의 중국여행 사증은 떼어주지 않고 있지만 화교들의 고국(중국)방문은 막지 않고 있다"며 "이런 문제로 하여 보위부가 '화교 장사꾼들 좋은 노릇만 하고 있다'는 현지 주민들의 비난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보위부 담당자들도 '중앙에서 지시하는 것을 우리가 어찌하겠느냐'라고 말한다면서 리수용 노동당 부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하고 나면 문제가 풀릴 줄 알았는데 방문 후에도 사사여행자의 여행길은 열리지 않았다고 안타까움을 드러냈습니다.

특히 사사여행자들은 대부분 공장기업소들로부터 필요한 물건을 주문받아 장사를 하는데 북한당국이 사전 예고 없이 갑자기 사사여행을 중단시켜 그로 인한 개인장사꾼들과 공장기업소들의 피해가 적지 않다고 소식통은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청진시 청암구역의 한 주민은 주변 관해협동농장으로부터 농업용 비닐박막과 농약을 구입해 달라는 주문을 받고 돈까지 미리 중국에 보냈는데 갑자기 사사여행이 중단돼 결국 집을 팔아 물건 값을 물어주어야 했다"며 북한당국의 중국 사사여행 중단으로 인한 개인들의 피해실태를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