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무직자 단속 강화

0:00 / 0:00

앵커 : 주민통제를 강화하고 있는 북한이 최근 대대적인 무직자 단속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단속대상인 무직자들이 "정상적으로 생산이 이루어지는 공장기업소들에 취직을 시켜 달라"며 반발하고 있어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전언입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주민통제를 본격 강화하고 있습니다. "시도 때도 없는 숙박검열 때문에 잠을 설치는 날이 많다"고 소식통들은 말했습니다. 숙박검열을 자주하는 것은 매음(성매매)과 도박, 마약행위를 뿌리 뽑기 위해서라고 그들은 설명했습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북한은 무직자들에 대한 단속도 대대적으로 벌리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해왔습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무직자들을 상당수 잡아들이고 있다"고 22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무직자 단속은 당, 근로단체 사법기관 성원들로 조직된 '3.12상무'와 청년동맹 소속 '불량청소년 그루빠'가 합동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단속은 각 동, 인민반 단위로 면밀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그는 언급했습니다.

또 무직 상태가 1개월 정도인 사람들의 경우 보름내로 새로운 직장을 얻을 것을 경고 하는 것으로 끝나지만 2개월인 사람들은 북한 돈으로 벌금 10만원, 3개월은 벌금 20만원을 물어야하고 3개월 이상부터는 '노동단련대 처벌'을 받게 된다고 그는 이야기했습니다.

하지만 25일 양강도의 소식통은 "처벌 규정은 엄격하지만 실제 처벌수위는 그리 높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단속된 무직자들은 '나라를 위해 더 많은 일을 하고 싶으니 일할 수 있는 곳에 취직을 시켜 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현재 북한의 상당수 공장기업소들이 전기와 원료, 자재가 없어 생산 활동을 못하고 있는데 무직자들의 요구는 "정상적으로 생산이 이루어지는 공장기업소들에 취직을 해서 더욱 열심히 일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겉으로는 이러한 무직자들의 요구가 일을 더 많이 하겠다는 의미로 들릴 수 있지만 이들이 노리는 목적은 따로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은 생산을 못하는 공장기업소들의 노동자들을 농촌지원과 각종 건설에 동원시킨다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하지만 동원되어 일하는 지역과 건설현장이 일정치 않아 생산을 못하는 공장기업소에 배치된 노동자들은 늘 떠돌이 생활을 해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특히 대부분의 동원지역이 거주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가족들과 떨어져 생활을 할 때가 많다"고 그는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