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2018년 강원도 평창 동계올림픽을 북한과 분산 개최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최근엔 최문순 강원도지사까지 나서 분산 개최를 언급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전 세계인의 겨울축제인 동계올림픽이 앞으로 3년 후 한국의 강원도 평창에서 열립니다. 세 번의 도전 끝에 어렵게 올림픽을 유치했습니다. 평창을 중심으로 강릉 지역에서 개최되는 2018년 동계올림픽은 지금 경기장 건설이 한 창입니다.
최근 한국 정부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북한에 대화를 제의하는 등 오랜만에 남북대화의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반도 평화 실현을 위해 평창올림픽을 북측에서 분산 개최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동안 분산 개최를 반대하던 최문순 강원도지사도 입장을 바꿔 분산 개최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최 지사는 지난 4일 조선일보와 가진 신년대담에서 "경기 시설공사에 큰 비용과 시간이 들지 않는 스노보드 한두 종목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최 지사가 분산 개최를 검토하게 된 배경으로 "평창 동계올림픽에 북한이 반드시 참여해야 하는데 그 방안 중 하나가 일부 종목 분산 개최"라고 설명했습니다.
올림픽 분산 개최를 위해선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허가가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최근 국제올림픽위원회가 올림픽 개최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이웃 나라와 분산 개최를 권장하는 분위기이어서 강원도가 구체적으로 계획안을 작성해 제출하면 무난히 허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평창올림픽의 남북한 공동개최에 대해선 사실 북한도 예전부터 많은 관심이 있었습니다. 지난 12월 12일에는 북한을 대변하는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가 평창올림픽의 남북한 공동개최 의사를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당시 조선신보는 '올림픽 공동주최'라는 제목의 글에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부터 적용되는 국제올림픽위원회의 분산 개최 결정이 올림픽 개최의 재정적 부담 때문"이라며 "그렇다면 이 기회에 지리적으로 가까운 마식령스키장을 이용하면 어떤가"라고 밝혔습니다.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우선 체제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거죠. 북한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고 원하고 있다는 것을 세계에 과시할 수 있기 때문에 크게 손해를 볼 게 없다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게다가 올림픽 분산 개최를 통해 외화를 벌 기회도 생기고요.
평창 동계올림픽 남북 공동 개최와 관련해 한국에선 아직 반대의 의견이 많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남북관계에 따라 여론은 얼마든지 바뀔 수가 있다는 게 대북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물론 여기에는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당국 간 회담을 통해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북측이 평화 실현을 위해 진정성을 보일 경우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