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 산림 복원 대비 양묘장 설치”

0:00 / 0:00

앵커: 남한의 통일부는 본격적인 대북 산림지원에 대비하기 위해 남북 접경지역에 양묘장을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주원인은 뙈기밭 개간이나 땔감 부족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1990년대 초부터 시작된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고난의 행군을 겪으면서 더욱 악화됐습니다.

김성일 서울대 교수: 1990년도에는 전 국토의 68%가 숲이었고요. 그 이전에는 사실 70%를 상회했었어요. 그런데 그 이후에 보게 되면 약 47%, 지금은 아마 그것보다 더 떨어졌을 것으로 봅니다.

산림 전문가들은 통일 이후를 대비해서라도 북한 산림 복원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이 때문에 민화협 등 남한의 민간단체들이 북한 산림복구를 위해 적지 않은 지원을 해왔습니다.그러나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로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지금은 지원이 거의 중단된 상태입니다.

이런 가운데 남한의 통일부는 '2017년 업무계획 보고'에서 휴전선 인근 녹지대에 양묘장을 설치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장기적인 측면에서 북한의 산림녹화가 필요하고 그런 것들을 대비하는 차원에서 우리 내부의 준비가 필요하다는 계획 차원에서…

이와 관련해 통일부 관계자는 지난 9일 "산림청과 대북 산림협력 민간단체 등과 협력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해마다 나무를 심어도 황폐화를 벗어나지 못하는 북한. 북한의 산림 재앙은 한반도 전체의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백두대간을 되살리기 위해서라도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