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북한 변화를 위한 해답 찾아야”

앵커: 남한의 박근혜 대통령이 16일 오전 여의도 국회에서 행한 연설에서 북한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국회의 협조와 국민 단합을 호소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으로 한반도 위기가 고조된 상황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16일 오전 국회에서 대국민 연설을 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먼저 국가 안보를 위한 초당적인 협조와 국민 단합을 강조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우리가 내부에서 그런 것에 흔들린다면 그것이 바로 북한이 바라는 일이 될 것입니다. 지금 우리 모두가 북한의 무모한 도발을 강력 규탄하고 북한의 무모한 정권이 핵을 포기하도록 해도 모자라는 판에 우리 내부로 칼끝을 돌리고 내부를 분열시키는 일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박 대통령은 연설 내내 북한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밝혔습니다. 북한이 스스로 변화할 수밖에 없도록 강력하고 실효적인 조치들을 취해나가겠다고 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이제 기존의 방식과 선의로는 북한 정권의 핵개발 의지를 결코 꺾을 수 없고 북한의 핵 능력만 고도화시켜서 결국 한반도에 파국을 초래하게 될 것이라는 점이 명백해졌습니다. 이제 더 이상 북한의 기만과 위협에 끌려다닐 수는 없으며 과거처럼 북한의 도발에 굴복하여 퍼주기식 지원을 하는 일도 더 이상 해서는 안될 일이라 생각합니다.

박 대통령은 최근 벌어진 개성공업지구 가동 중단 조치에 대해서도 설명했습니다.

이미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밝혔던 것처럼 북한의 핵과 미사일 능력이 고도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북한으로 외화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야 했다고 말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우리가 지급한 달러 대부분이 북한 주민들의 생활 향상에 쓰이지 않고 핵과 미사일 개발을 책임지고 있는 노동당 지도부에 전달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북한 정권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사실상 지원하게 되는 이런 상황을 그대로 지속되게 할 수는 없습니다.

또 한반도 사드 배치 협상 착수 등 정부의 계속되는 군사 조치에 대해서도 설명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강력한 대북 억제력을 유지하기 위해 한미 연합방위력을 증강시키고 한미동맹의 미사일 방어태세 향상을 위한 협의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10일 발표한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협의 개시도 이러한 조치의 일환입니다.

박 대통령은 또 엄중한 안보 상황을 고려해 정쟁 중단을 호소하고 테러방지법과 북한인권법 등의 조속한 처리도 당부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우리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그동안 제가 여러 차례 간절하게 부탁드린 테러방지법과 북한 주민들에 대한 인권유린을 막기 위한 북한인권법을 하루속히 통과시켜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26분간 진행된 박 대통령의 이날 국회연설에서는 ‘북한’이라는 단어와 ‘우리’, ‘국민’, ‘도발’ 등의 단어가 많이 등장했습니다.

‘북한’은 54차례, ‘우리’는 50차례, ‘국민’ 28차례 등 안보와 관련된 용어들이 주로 사용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