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강원도 평창 동계올림픽의 시작을 알릴 성화봉송이 오는 11월 시작됩니다. 성화는 101일 동안 남한 전역을 달리는데요. 평창 조직위원회는 "남북관계가 호전될 경우 북한 내 성화봉송도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300여 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평창 조직위원회는 지난 17일 서울 한국언론재단 빌딩에서 성화봉송 구호와 경로, 주자 선발계획 등을 발표했습니다.
성화봉송 구호는 '모두를 빛나게 하는 불꽃'. 성화봉송 거리는 평창 동계올림픽의 개최 연도인 2018년을 기념해 2,018㎞로 정했습니다.
성화봉송 주자는 7천500명으로 정했는데 이는 남북한 인구를 상징한 숫자입니다. 보조주자 2,018명 역시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연도를 의미합니다.
올림픽 성화는 10월 24일 그리스 올림피아에서 채화돼 개막 100일 전인 11월 1일 한국으로 들어옵니다.
이후 전국 17개 시·도와 강원도 18개 시·군을 거쳐 개회식 날인 내년 2월 9일 평창올림픽 경기장 성화대로 옮겨집니다.
평창 조직위는 남북관계가 호전될 경우 북한 내 성화봉송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김대현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문화행사국장: IOC의 사전 승인이 있으면 북한도 가능합니다. 그런 부분은 조직위 차원보다는 정부 차원에서 어쨌든 길은 열려 있습니다.
또한 여형구 평창 조직위원회 사무총장은 "북한의 평창 올림픽 참가 가능성을 열어두고 북한 참가에 대비한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앞서 북한은 지난 2일부터 8일까지 강릉에서 열린 국제아이스하키연맹 여자 세계선수권에 참가해 큰 관심을 받은 바 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