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의 통일부가 대변인 성명을 내고 북한이 제의한 6.15공동행사에 남측 민간인이 참여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6.15공동선언 기념행사를 남북이 함께 열자고 제안한 데 대해 한국 정부는 27일 부정적인 견해를 내놨습니다.
당국 간 대화는 거부하면서 민간 통로로 대화공세를 벌이는 의도가 의심스럽다는 겁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북한의 이러한 태도는 그 진정성이 의심스러울 뿐만 아니라 남남갈등을 조장하려는 구태의연한 행태로서 심각한 우려를 금할 수 없습니다.
통일부는 또 "북한이 정치적 의도가 담겨있는 6.15 남북공동행사에 더이상 집착하지 말고, 남북 당국간 대화에 조속히 호응하라"고 거듭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북한은 먼저 "단절시킨 개성공업지구의 군 통신선을 복원하고, 공업지구에 있는 완제품과 원부자재 반출 문제부터 시급히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통일부는 북한이 최근 박근혜 대통령을 실명으로 비난한 데 대해 "국제사회에 부끄러운 일"이라며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김형석 대변인: 남북관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 북한이 언행을 자제하고 절제를 해야 하고, 그리고 이러한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공식 매체를 통해서 도저히 입으로 담을 수 없는 그리고 인용할 수도 없는 그런 발언을 한 것에 대해서 대단히 유감스럽고, 여기에 대해서는 즉각적으로 중단을 해야 한다는 말씀 드리겠습니다.
북한은 지난 22일 6.15 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에 보낸 확스(팩스)에서 "북남관계를 원상회복하고 자주통일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나가는 유일한 출로는 공동선언 이행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당시 남측위원회는 긍정적인 방향에서 한국 정부가 협조해 주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에 대해 남북관계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검토해 나가겠다고만 밝혔습니다.
6.15 공동선언 기념행사는 2000년 6월 평양에서 발표된 뒤 매년 금강산 등에서 벌여왔지만, 2008년 7월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 이후 중단됐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