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개성공단 경협보험금 지급”

0:00 / 0:00

앵커: 개성공업지구 가동 중단이 5개월째로 접어든 가운데 남한의 통일부가 입주 기업 90개사에 2억2천700달러의 경협보험금을 지급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한의 통일부는 지난 13일 정례회견을 통해 "개성공업지구 입주 기업 90개사에 경협보험금이 지급됐다"고 밝혔습니다. 통일부는 근로자 고용 안정을 위해 휴업•휴직수당도 함께 지원했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경협보험 가입 기업에 대해서는 어제까지 112개사 중 90개사에 대해서 2천593억 원이 지급되었습니다. 이는 총 지급예상액의 80% 수준입니다.

2천593억 원은 미화로 환산하면 2억2천700만 달러 정도입니다. 통일부는 또 "기업들의 유동성 경색을 완화하기 위해 2억 2천 만 달러(2천498억 원)의 자금을 신규로 대출했다"며 "경헙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자산피해에 대해서는 총 13개 기업에 약 1천만 달러의 지원금이 지급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런가 하면 개성공업지구 근로자의 위로금은 13일까지 신청한 448명 중 262명에게 총 386만 달러(44억 원)가 지급됐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정부는 앞으로도 신속히 피해지원금 지급절차를 진행해나갈 것입니다. 그리고 정부지원을 토대로 기업들도 자구노력을 기울여서 하루빨리 경영정상화를 이루어낼 수 있도록 기업활동에 매진해주기를 기대합니다.

그러나 정부의 지원금 지급에 대해 불만을 표출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개성공업지구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개성공업지구 전면 중단에 따른 기업 실질 피해보상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기도 했습니다.

정기섭 비대위 공동위원장에 따르면 정부가 현재 피해 지원금을 입주 기업에만 지급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최근 협력 업체와 영업 기업은 입주 기업으로부터 밀린 거래대금을 받으려고 법원을 통해 지원금 자체를 압류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영업 기업이란 개성공업지구에서 입주 기업을 지원했던 상점과 세탁소, 건설 업체 등을 말합니다.

입주 기업이 정부 지원금을 받을 때 작성하는 확약서에는 입주 기업과 영업 기업이 거래대금과 관련해 소송에 휘말릴 경우 그 책임은 입주 기업이 책임져야 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이에 대해 일부 입주 기업들은 "무책임한 처사"라며 통일부를 비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