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낙후한 북한 농촌 지역을 살리기 위해 한국 정부가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통령 소속 통일준비위원회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데요. 복합농촌단지 조성이 가장 먼저 추진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한의 류길재 통일부 장관이 25일 "북한 농업과 산림지원 사업에 소규모 비료지원을 포함해 다양한 지원 방향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류 장관의 이날 발언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주최로 열린 토론회 기조연설에서 나왔습니다.
한국 정부는 2010년 5•24 조치에 따라 대북지원을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인도적 차원으로만 한정하면서 식량과 비료지원을 그동안 사실상 금지해 왔습니다.
그러나 올해 3월 박근혜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통일 구상인 독일 드레스덴 선언을 계기로 북한의 농촌 지역을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당시 나왔던 말이 '복합농촌단지' 조성입니다.
복합농촌단지란 남북한이 농업, 산림, 축산, 농촌개발 협력과 상업적 교류를 위한 공간을 북한 내에 조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남북한 공동의 이익과 발전을 도모해가자는 취지의 사업을 말합니다.
박근혜 대통령: 복합농촌단지 사업도 마을 단위의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한 비료 지원,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부엌 개조, 마을도로 정비 등 민생 인프라 차원의 구체적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4일에도 대통령 소속 통일준비위원회 주최로 토론회를 열고 남북농업협력 방안 등을 깊이있게 논의했습니다. 남북 간 농업협력을 통해 북한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자는 게 그 취지입니다.
이 자리에서 김관호 농어촌연구원 연구위원은 "함경남도 북청군 일대 북청농업개발구 등에 복합농촌단지를 조성하자"고 주장했습니다. 함경남도 북청을 후보지로 제시한 것은 과거 협동농장에 대한 남북공동 영농사업 경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김 위원은 북청농업개발구에 대해 "북청군의 지역적 특성에 맞는 과수업, 과일종합가공업, 축산을 연결하는 고리형 순환체제로 개발 가능하다"며 "주변 지역의 약초와 고사리, 송이버섯 등과 동해 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업도 개발해 잉여 농수산물의 남한 반입도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지난 7월 통일준비위원회 출범을 앞두고 발간한 '드레스덴 구상과 행복한 통일' 보고서에서 복합농촌단지 후보지로 북청군과 어랑군 등 6곳이 선정됐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