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의 최룡해 인민군 총정치국장이 김정은 제1비서의 특사 자격으로 22일 중국을 찾았습니다. 이번 방문은 미중 정상회담과 한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뤄져 주목받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룡해 총정치국장을 비롯한 북측의 특사단 일행은 22일 오전 베이징에 도착한 직후 댜오위타이(釣魚臺) 국빈장에 여장을 풀었습니다.
중국 언론은 최룡해가 첫 일정으로 왕자루이(王家瑞) 당 대외연락부장을 만났다고 보도했습니다.
북측 특사단 일행의 구체적 일정과 면담 예정 인사는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북측 언론도 최룡해 총정치국장의 중국 방문 소식을 보도했지만, 방중 목적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총정치국장은 북한의 현재 공식 서열상으로는 김정은 제1비서와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다음입니다. 군부 인사 중에선 최고위급인 셈입니다.
하지만 총정치국은 당이 군부를 통제하기 위해 만든 기구이기 때문에 최룡해는 김정은과 로동당을 대표해 중국을 방문한 것으로 보는 게 맞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최룡해는 로동당 정치국 상무위원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번 방중을 통해 다룰 의제도 핵과 미사일 등 군사 현안에 국한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습니다. 삼성경제연구소에서 북중관계를 연구하는 최명해 박사입니다.
최명해 삼성경제연구소 글로벌연구실 수석연구원: 최룡해는 순수 군인이라기 보다는 민간인 출신이기 때문에 (이번 방중을 통해) 군사 의제를 최우선적으로 논의하기 보다는 김정은의 최측근으로서 김정은의 복심을 중국 지도부에 전하고 그동안 소원했던 북중관계를 정상화시키고자 하는 목적이 더 큰 것으로 보입니다.
최룡해의 중국 방문은 6월초로 예정된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과 6월말로 추진 중인 박근혜 대통령과 시 주석 간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뤄졌습니다.
따라서 북측은 이번 최룡해의 방중을 통해 개성공단의 파행을 비롯해 남북관계가 얼어붙은 이유와 3차 핵실험 이후 미국을 상대로 미사일 위협을 하게 된 배경 등을 중국 측 지도부에 상세히 설명하고자 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습니다.
시진핑 주석이 북측의 입장을 염두에 두고 미중 정상회담과 한중 정상회담에 나서길 북측이 바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해석입니다.
또한 최룡해는 핵 개발과 경제 발전을 동시에 추진하는 북측 지도부의 노선을 중국 지도부에 설명하고 경제 협력 등의 확대도 요청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핵•경제 병진노선'은 북한의 비핵화를 요구하는 미국과 중국, 그리고 한국의 입장과 상충하기 때문에 최룡해의 이번 중국 방문이 북핵 6자회담의 재개와 같은 대화 국면으로 당장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삼성경제연구원의 최명해 박사는 평가했습니다.
김정은 제1비서가 공식적으로 중국에 특사를 보내기는 이번이 처음이고, 북한이 중국에 고위급 인사를 파견한 것은 지난해 8월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이후 9개월 만입니다.
북중 간 고위급 인사교류는 지난해 11월 리젠궈(李建國) 중국 공산당 정치국원이 평양을 방문한 이후 중단된 상태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