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6.15 행사 남북공동 개최 제안

0:00 / 0:00

앵커: 북측이 6.15 공동선언 기념행사를 남북 공동으로 개최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측이 제안한 공동행사의 성격과 파급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정부 입장을 정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측이 남북관계의 "원상회복"을 위한 "유일한 출구"는 과거 한국의 김대중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합의한 6.15 공동선언의 이행이라고 규정했습니다.

그러면서 북측은 6.15 공동선언 관련 행사를 공동으로 개최하자고 남측에 제의했습니다.

이 같은 사실은 '6.15 공동선언 실천 남측위원회'가 북측위원회로부터 개성 또는 금강산에서 행사를 하자는 내용의 팩스를 22일에 받았다고 23일 공개하면서 밝혀졌습니다.

북측의 이번 제안은 개성공단 운영이 중단된지 50일이 넘은 가운데 나왔습니다.

6.15 공동선언 실천 남측위원회는 정당과 학계, 종교계, 그리고 사회단체가 참여해 2005년 결성한 민간단체입니다.

전문가들은 북측이 남한에 있는 민간단체를 활용해 한국 정부를 압박하고, 이를 통해 6.15와 10.4 선언이 발표된 김대중•노무현 정부때 처럼 대북 경제지원을 포함한 남북교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습니다.

김용현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북한 입장에서는 정부와 민간을 분리해서 지금의 국면 속에서 남남 갈등을 유발하는 측면이 있고, 또 하나는 남측 민간과의 교류를 통해서 현재 남북관계의 꽉 막힌 부분을 돌파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도 볼 수 있겠습니다.

6.15 공동선언 실천 남측위원회의 정현곤 공동집행위원장은 "북측이 개성을 행사 장소 가운데 하나로 제안한 것은 개성공단을 살리려는 의지를 간접적으로 표명한 것"이라며 "행사가 이뤄지려면 끊긴 군 통신선을 회복해야 하는 등 남북 당국 사이에 협의할 것이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방향에서 한국 정부가 협조해주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남측위원회는 또 개성공단 정상화가 중요하기 때문에 올해 6.15 공동선언 관련 행사를 개성에서 추진하는 것으로 내부 입장을 정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 당국자는 "현재의 남북관계 상황에서 불필요한 논란이 발생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그동안 이뤄진 공동행사의 성격이나 파급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정부 입장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6.15 공동선언은 2000년 6월 15일 평양에서 당시 한국의 김대중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정상회담을 통해 발표했으며, 경제협력을 포함해 남북교류를 활성화하자는 내용을 담고있습니다.

남북 양측은 2000년 남북 정상회담 이듬해부터 이명박 정부 첫해인 2008년까지 2003년을 제외하고 매년 남북한을 오가며 6.15 공동선언 관련 행사를 열었지만, 2008년 7월 금강산에서 남측 관광객 피격 사건이 발생한 이후부터는 공동행사를 열지 못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