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금강산 관광의 재개를 희망하는 남한 사람들의 숫자가 지난해보다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 정부가 금강산 관광의 재개 문제와 관련해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는 것도 이 같은 여론에 힘입은 것으로 풀이됐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측 통일부의 류길재 장관은 지난 23일 어느 일간지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무산시킨 현재로선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회담을 여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먼저 열려야 금강산 관광의 재개 문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말로 해석됐습니다.
이 발언은 금강산에서 열릴 예정이던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북측이 지난 21일 일방적으로 연기한 이후에 나왔습니다.
원칙적으로 한국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문제와 금강산 관광 문제는 별개"라는 입장을 갖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북측의 일방적인 상봉행사 연기를 계기로 남측은 두 사안을 연계하기 시작한 셈입니다.
그 배경에는 국민 정서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풀이입니다. 통일부도 지난 23일 기자들의 질문에 유사한 답변을 내놨습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별개로 추진하더라도 당분간은 현재 상황에서는 관광 재개 문제를 협의한다든지 그런 것을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봅니다. 우리 국민의 정서도 있는 것이고…
실제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 26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금강산 관광 재개에 찬성하는 여론은 지난해보다 5.1% 포인트 감소한 57.4%였습니다.
특히 자신을 진보 성향이라고 밝힌 응답자 중에서 금강산 관광 재개에 찬성하는 비율은 지난해보다 8.3%가 줄어든 64.9%였습니다.
"여전히 금강산 관광의 재개에 찬성하는 사람들이 과반수를 넘고 있지만, 지난해와 비교할 때 그 비율이 감소세를 보인 것은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에 찬성하는 전반적인 국민 정서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고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설명했습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 이날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7.6%가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에 만족한다고 답했습니다.
연구원은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만족도 조사가 2007년 시작된 이후 절반이 넘는 응답자가 지지를 표명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여론조사는 7월1일부터 22일까지 전국 16개 시도의 성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8%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