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한 해경이 동해에서 장기간 표류하던 북한 선원 8명을 구조했습니다. 표류 기간 동안 아사자도 다수 발생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남한 정부는 생존자들을 모두 북한으로 돌려보낼 예정입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해양경찰이 동해 남측 배타적경제수역에서 표류하던 북한 선박 3척을 지난 11일과 12일 구조했다고 통일부가 15일 밝혔습니다. 생존자는 총 8명이며 모두 귀환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각 선박의 표류 기간은 길게는 석 달, 짧게는 보름 정도입니다.
장기간 표류하다보니 아사자도 생겼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아사자 규모를 "10명이 약간 안 되는 숫자"라고만 말했습니다. 시신은 갑판에 방치됐다가 파도에 쓸려가 없어졌다고 북측 선원들이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아사자는 한 선박에서 집중적으로 좀 나온 것 같고요. 또 다른 선박은 (중국 어선과) 충돌과정에서 (북측 선원이) 실종된 경우입니다.
선박 3척의 표류 원인은 기관 고장, 중국 어선과의 충돌, 그리고 예인줄 절단 등으로 각각 확인됐습니다.
동절기에 이 같은 사고가 발생한 원인 중 하나로 정 대변인은 김정은 위원장의 수산분야 강화 방침을 꼽았습니다. "김 위원장이 군부대 산하 수산사업소를 3곳 이상 연달아 방문한다든지, 또는 '300일 이상 출어하라'는 지시를 내린다든지, 이런 수산 부문에 대한 독려가 (조난 사고의) 바탕이 된 것 같다"는 겁니다.
또다른 원인으로 정준희 대변인은 "북한에서 수산업이 차지하는 수출 비중이 거의 10%에 육박하는데다 단기간에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라고 생각해 더더욱 독려하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 정부는 통상 북한 선박이 표류해 남측 지역으로 넘어오면 해당 선박을 수리한 뒤 북방한계선(NLL)에서 북측에 인계해왔습니다. 이번에 구조한 3척의 선박 중 1척은 수리와 운항이 불가능해 북측 선원의 동의 하에 해상에서 폐기했고, 나머지 2척은 동해항으로 예인했다고 통일부는 밝혔습니다.
남측 당국의 생존자 8명에 대한 조사는 지난 14일 끝났습니다. 이들은 모두 북한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이에 남측은 기상상황 등을 고려해 다음 주 월요일 오전 9시경에 동해상에서 송환할 예정이라고 통일부는 전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