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가 19일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한국의 제18대 대통령에 선출됐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의 대북 정책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를 짚어봤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의 대북정책은 과거 김대중, 노무현 정부와 현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반성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우선 이른바 '퍼주기', 그러니까 무조건적인 대북지원을 통해 평화를 유지하는 것은 진정한 평화가 아니라고 평가합니다.
박근혜: 북한이 그렇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이 퍼주기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첫번째 핵실험을 했습니다. 가짜 평화라는 것 아니겠습니까?
이명박 정부의 대북 강경책 역시 남북관계의 후퇴만 가져왔다고 진단했습니다.
따라서 박근혜 당선자는 유화 아니면 강경이라는 이분법적 접근에서 벗어나 균형 잡힌 대북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박근혜: 지난날 정책의 단점은 보완하고 장점은 살리며 투명한 정책 수립과 집행을 통해 국민이 공감하는 대북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
꽉 막힌 남북관계를 풀기 위해 박근혜 후보는 신뢰의 회복을 강조합니다.
신뢰를 공고히 해야 지속가능한 평화가 정착되고 통일 한국의 기틀을 다질 수 있다는 겁니다.
박근혜: 새로운 한반도를 건설하기 위한 출발점에 필요한 것은 신뢰입니다. 국민적 신뢰, 남북 간의 신뢰, 국제적 신뢰를 쌓아가야 합니다.
남북간 신뢰 회복을 위해 박 후보는 "우선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말합니다. "남북간 기존 합의에 담긴 평화와 상호 존중의 정신을 실천하며, 세부 사항은 현실에 맞게 조정해 나가자"는 겁니다.
박근혜: 신뢰를 쌓기 위해서는 다양한 대화 채널이 열려있어야 합니다.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서라면 북한의 지도자와도 만나겠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는 후보 시절, 천안함 사건 등과 관련해 "북한의 사과가 대화의 전제조건은 아니다"라면서 "사과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도 대화는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이처럼 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북한과의 신뢰 회복에 방점을 찍고 있고 있지만, 박근혜 당선자는 자신의 대북정책이 튼튼한 안보에 바탕하고 있다고 강조합니다.
박근혜: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받고, 주권이 훼손되는 상황에서는 새로운 한반도를 만들 수 없습니다. 제2의 천안함, 연평도 사태는 결코 용납하지 않겠습니다.
"북핵은 결코 용인할 수 없다"는 입장도 여러번 밝힌 바 있습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을 무력화할 수 있는 억지력을 강화하겠다는 점도 분명히 밝혔습니다.
다시 말해,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의 대북정책은 철저한 안보와 대북 억지력을 바탕에 깐 상태에서 남북 간 신뢰 회복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설계하고 있는 셈입니다.
이제 박근혜 당선자의 대북정책은 현실과 맞부딪히게 됩니다.
앞으로 박근혜 정부가 풀어야 할 남북 간 현안은 많을뿐 아니라 사안도 복잡합니다.
천안함 폭침에 따른 이명박 정부의 5.24 대북제재 조치나 박왕자 씨 피격 사건으로 인한 금강산 관광 중단 조치를 해제하는 절차와 방법에 사람들은 관심을 집중하게 될 것입니다.
이와함께 지난 12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로 인해 높아진 동북아의 긴장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도 차기 박근혜 정부가 떠안을 숙제가 됐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