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정부가 소니영화사 해킹의 배후로 지목한 북한에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수가 1만 2천 여대에 달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국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국장을 지낸 빅터 차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는 자유아시아방송에 북한에서 컴퓨터가 1만 2천 여대가 인터넷 망에 연결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빅터 차: 북한에 다녀온 민간 분야 관계자들로부터 보고받은 바에 의하면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예상했던 7천 여 대 보다 더 많은 1만 2천 여대의 컴퓨터가 북한 인터넷에 연결돼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북한전문 웹사이트인 '노스 코리아 테크(North Korea Tech)'를 운영하는 마틴 윌리암스 씨는 북한이 등록한 1천 여 개 인터넷규약주소 즉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감안할 때 타당성 있는 주장이라고 말했습니다.
마틴 윌리암스: 북한은1천 24개의 IP 주소를 갖고 있는데 해외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가 북한에 고유한 KP주소 중 소수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북한 내 컴퓨터의 인터넷 망 연결에 사용되는 것입니다. 여러 컴퓨터가 공유기나 와이파이 등을 이용해 하나의 IP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수 천 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다고 보는 겁니다.
북한은 2009년 12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IP주소를 관할하는 오스트랄리아의 아시아태평양정보망센터(Asia Pacific Network Information Center: APNIC)에 1천 24개의 IP주소를 등록하고 자국 내 컴퓨터를 인터넷 망에 연결하기 시작했습니다.
윌리암스 씨는 평양과학기술대학(PUST)에서도 대학원생에만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는 등 북한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계층은 아직도 매우 한정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윌리암스: 미국인 컴퓨터 과학자로 평양과기대 영어강사로 일하고 돌아온 윌 스콧(Will Scott)씨는 제게 이 대학 학부생은 인터넷을 사용하지 못하고 대학원생만 인터넷 접속이 허용된다고 말했습니다.
빅터 차 석좌는 북한에 예상보다 많은 컴퓨터가 외부 세계와 연결된 인터넷에 접속된 만큼 북한도 외부로부터의 해킹 피해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암살을 소재로 한 영화 '인터뷰' 제작사인 '소니영화사'를 해킹한 데 대한 보복 해킹의 효과가 예상보다 더 클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한편, 북한 내 외부 정보 유입 활동을 하는 한국 대북인권단체 '북한전략센터'의 한 관계자는 북한에서 인터넷 사용자는 정보기관이나 해킹전문가 등 북한 당국의 필요와 감시에 따라 사용하고 있어 1만 2천 여대 중 일반 주민이 사용하는 컴퓨터는 한 대도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