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신 경제조치 근로자 임금정책 혼란

0:00 / 0:00

앵커: 북한이 지난해 말부터 새로운 경제관리체계 시행을 지시했지만, 정작 공장, 기업소들은 마땅한 일감이 없어 속수무책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상된 노동자들의 노임(월급)도 형편없이 낮아 앞으로 생계유지가 걱정이라고 합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요즘 새로운 경제관리조치를 도입하고 있지만, 선뜻 노동자들의 반응은 신통치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평안북도 지방의 노동자 박 모 씨는 "올라간다던 노동자의 노임(월급)이 기대 보다 형편없이 낮아 실망했다"고 1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박 모 주민은 "경제개선조치가 실시되면서 한 달에 2천 원씩 받던 노동자의 노임이 4천 5백원으로 올랐다"면서 "노동자의 월급이 십배 이상 올라간 게 아니냐?"는 질문에는 다른 데는 몰라도 자기네는 그렇지 않다고 일축했습니다.

박 씨는 "공장에서 노동자들의 월급을 조금 올려주는 대신 국가에서 받던 식량배급을 절반으로 줄였다"고 말했습니다.

예를 들어 하루 정량 700g씩 받던 박 씨의 경우, 배급은 350g으로 줄어들었고, 대신 모자라는 식량은 공장에서 올려준 월급으로 자체 해결하도록 한다는 복안입니다.

그동안 대북 소식통들은 북한 당국이 새로운 경제관리조치를 시행하면 노동자의 월급을 10배 이상 올려줄 것이라고 관측해왔습니다.

서재평 북한민주화위원회 사무국장의 말입니다.

서재평 국장:
월급이 지난 2002년 7.1 경제개선조치처럼 장마당 물가 반영을 좀 더 현실화해서 그것을 국정가격으로 정하려고 한다, 이것이 간부들이 하는 이야기인데요. 정식 지시사항으로 내려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심각한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이 새로운 경제조치를 내놓고도 정작 노동자들의 월급을 일률적으로 정하지 못하고 "공장 자체 실정에 맞게 해결하라"고 지시했다는 지적입니다.

현재 북한의 탄광, 광산 등 생산물이 나오는 단위에서는 노동자의 월급을 큰 폭으로 올려준 곳도 있지만, 가동이 안되는 영세한 직장은 그렇지 못하다고 북한 현지 주민들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함경북도 지방의 또 다른 주민은 "중앙에서는 새 경제관리조치가 시행되면 공장 자체로 중국과 합영 합작까지 할 수 있다고 말했는데, 아직 다른 조치가 없다"며 "공장 지배인들만 노동자들을 먹여 살리느라 고생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새로운 경제 조치라고 해서 뭔가 했더니 또 자력갱생하라고 요구하는 것 밖에 없다"면서 "언제는 자력갱생을 안 했냐?"고 반문했습니다.

평안북도 지방의 박 씨도 "현재 공장 간부들은 자체 액상계획을 하기 위해 부업거리들을 구상하고 있는데, 전기를 쓰지 않고 쓸 수 기계를 만들어 팔 생각을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