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신경제 조치 동시에 체제 단속 강화

0:00 / 0:00

앵커: 북한당국이 새로운 경제관리 체계를 시도하는 와중에도, 체제 보안기관을 강화하고 국경봉쇄에 전력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제도 활성화하고, 체제단속도 강화하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중국을 방문한 평양 주민 김모씨는 "중국에 나오는 과정에 보위부에서 승인을 받느라 고생을 많이 했다"면서 "요즘 중국에 파견되는 노동자들에 대한 신원조회를 너무 깐깐하게 해서 성분이 걸리는 탈북자 가족들은 엄두도 못낸다"고 9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그는 또 "북한 인민보안서에서는 여행증 발급을 엄격히 실시하고 있고, 전산망에 주민들이 여행한 장소와 시간 등을 종합해 저장하는 등 주민단속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평안북도 국경지방의 또 다른 북한 주민도 "중국에 전화를 하다 한번 걸리면 당장 추방당한다"며 "요즘 보위부가 방해전파를 너무 강하게 쏴서 국경도시 민간구역에서는 도무지 전화할 수가 없다"고 열악한 상황을 전했습니다.

그는 새로운 경제관리 조치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이미 내부에서 알 만한 사람은 다 안다"면서 "국경이 봉쇄되어 외부와 연락이 끊어져 잘 전달되지 않았을 뿐"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때문에 북중 국경지역에서 장사를 하는 중국 무역상인들도 북한 측 전화가 잘 터지지 않아 애를 먹고 있고, 더욱이 급히 처리해야 할 일들을 전화로 하지 못하고 인편으로 연락하는 등 과거 휴대전화가 없던 시절로 되돌아가는 형국이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북한 당국이 신경제조치를 준비하면서도 체제 보위수단을 총동원해 내부 단속을 배로 강화했다는 방증입니다.

북한당국이 새로운 경제조치를 시도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복수의 주민들을 통해 전해지고 있습니다.

평양 주민 김모씨는 "중앙에서 새로운 경제조치를 취한다는 소문이 여기저기서 나고 있다"면서 "이 조치가 시작되는 시점은 오는 10월초가 될 것이라는 이야기를 북한 간부로부터 들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새로운 경제관리 체계의 구체적인 내용은 앞으로 중앙에서 공식 문건이 내려와야 알 것 같다"면서 "크게 보면 국정가격을 없애고 시장 가격과 비슷하게 가격 일원화 제도를 실시하게 된다"고 말해 현재 북한에 존재하고 있는 이중 가격체계가 없어질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 주민들 속에서는 '이젠 인민들이 자체로 살 수 있게 (당국이)좀 가만 두었으면 좋겠다는 반응이 나온다"면서 "지난 2002년에 7.1경제 조치가 실패하면서 쓴 맛을 본 주민들은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술렁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워싱턴 지역의 한 북한전문가는 "결국 북한 당국이 체제 유지도 하고, 인민생활 안정을 꾀하는 소위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전술을 펴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