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북한이 로켓 발사를 강행하면 식량지원을 않겠다는 미국 정부의 입장이 공개되자 지원의 실무를 담당할 미국의 비정부단체들과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은 극도로 말을 아끼면서 사태 추이를 지켜보는 모습입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3년 만에 재개될 것으로 예상되던 미국 정부의 대북 식량지원을 준비 중이던 세계식량계획과 미국 비정부단체들은 북한의 갑작스러운 장거리 로켓 발사 계획 발표에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세계식량계획은 16일 미국 정부와 지난 이틀 동안 대북지원을 집중적으로 논의했지만 아직은 협의 내용을 공개할 수 없다는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습니다.
세계식량계획의 프랜시스 케네디 본부 대변인은 이날 대북지원의 협의 내용과 관련한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질문에 킹 특사가 세계식량계획의 고위 책임자를 만났지만 자세한 협의 내용을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국무부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는 14일과 15일 이탈리아 로마의 세계식량계획 본부를 방문해 북한과 합의한 식량지원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며 분배와 감시와 관련한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 정부가 지원할 식량의 분배와 감시를 담당할 미국의 5개 비정부단체도 당황스럽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비정부단체들의 사정에 밝은 워싱턴의 한 북한전문가는 미국의 비정부단체들이 북한에 보낼 분배감시 요원을 선발하는 공문을 공개하려는 시점에서 북한의 도발적인 발표가 나왔다며 이 같이 말했습니다.
이 북한전문가는 비정부단체들이 2-4년의 식량지원과 관련한 경험을 가진 지원자를 모집 중이라면서 한국어와 영어의 구사하면 우대한다는 내용도 요원을 선발하는 공문에 포함됐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 정부의 대북 영양지원에 참여할 미국의 비정부단체들은 머시코, 조선의 그리스도인 벗들, 글로벌 리소스 서비스, 사마리탄스 퍼스, 월드비전 등 5개 단체입니다.
이들 5개 비정부단체는 이날 종일 연락이 닿지 않았습니다.
한편, 대북식량지원에 직접 참여했던 미국의 한 전직 관료는 미국 정부가 대북 식량지원을 취소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전망했습니다.
미국의 국제개발처 정책사업조정차관보를 지내며 2000년대 초반 대북 식량지원을 지휘했던 패트릭 크로닌 신미국안보센터 아시아 태평양 안보 담당 선임 국장은 북한의 도발 범위에 따라 영양지원의 취소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패트릭 크로닌:
“북한의 로켓 발사가 핵개발 시설의 가동을 중단하고 핵실험을 하지 않는다는 미북합의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해석될 여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정부는 식량지원을 북한의 핵개발중단과 연계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크로닌 국장은 북한의 로켓 발사로 미국 정부가 식량지원 일정을 연기할 수는 있지만, 인도주의 측면이나 동북아시아의 안정을 고려하는 전략적인 측면에서 영양지원을 취소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