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지난해 북한의 잇단 도발로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 사업이 당초 계획대로 이행되지 않는 등 큰 어려움에 처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호주 정부가 지난해 3월 북한의 천안함 폭침 도발 이후 당초 약속했던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 예산의 집행을 보류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IFRC(국제적십자사)는 2010년 대북 인도주의 사업을 위해 75만 유로, 미화 100만 달러를 지원키로 약속했던 최대 기부국 중 하나인 호주 정부가 천안함 사건 뒤 대북 지원을 꺼렸다고 4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IFRC:
The heightened international tensions in March negatively influenced the Australian government’s decision to support the DRPK Red Cross….
IFRC는 천안함 사태로 특히 대북 사업 중 ‘재난 관리 사업’에 타격이 컸다면서, 결국 원래 책정됐던 정도의 예산으로 사업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사업 내용과 활동을 대폭 수정하고, 사업이 지연되는 등 어려움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정치적 영향으로 2010년 초에는 IFRC의 대북 사업을 위한 재정이 상당량 부족했고, ‘재난 관리 사업’의 일환인 ‘나무심기 사업’을 위해 종묘를 계획대로 확보하는 데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또 연초 계획된 나무 심기 사업이 가을 사업으로 넘어간 데 더해, 가을 사업으로 확보된 저렴한 대체 종묘도 애초 계획했던 품질에 상응하는 우량 종자가 아니어서 앞으로 성장에도 지장이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IFRC는 이와 관련해 영국, 덴마크, 노르웨이가 지난 11월 추가로 예산 부족분을 충당해준 덕분에 2010년 대북 사업이 대체적으로 완료됐지만, 북한의 도발 행위로 정치적 긴장이 높아지면 대북 사업의 진행에 어려움이 있다고 확인했습니다.
한편, IFRC는 2011년 미화 813만 달러의 예산을 배정하고 대북 사업을 펼칠 계획입니다.
IFRC는 2011년 예산의 약 20%에 해당하는 약 164만 달러를 ‘재난 관리 사업’에 책정하고, 북한 6개 도, 120개 군을 대상으로 홍수, 산사태 등 자연재해에 취약한 마을에 제방시설을 설치하고, 나무 심기 사업, 도시 도로 안전 확보 사업, 자원 봉사 동원 훈련 등을 펼칠 예정입니다.